최근 폐사체 처리기를 이용하는 농가가 많이 늘고 있는데 화재 발생에 주의해야 할 듯합니다. 전북소방본부는 6일 오후 12시 16분경 군산시 서수면에 위치한 양돈단지 내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폐사축 처리기에서 원인 모를 불이 나 50여분 만에 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과정에서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폐사축 처리기 2대와 철골조 칼라강판지붕 일부(50㎡)가 소실되는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소방당국은 정확한 재산피해 규모와 함께 화재 원인을 파악 중입니다. ※ 축사 전기설비 안전관리와 전기화재 예방 안내서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조만간 양돈농가에서 돼지 폐사두수와 이의 처리방법에 대해 기록하고 보관하는 것이 의무화될 듯합니다. 이같은 사실은 농식품부가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폐사두수 및 폐사축처리 기록 대장' 문서에서 확인되었습니다. 해당 문서에는 농가가 일자별로 돼지의 폐사두수와 폐사축처리 방법을 기재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폐사한 돼지는 축사(돈사)별로 구분해야 하며, 폐사한 돼지의 경우도 구체적으로 모돈, 후보돈, 웅돈, 자돈, 육성돈, 비육돈 등으로 명기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농가는 매달 정기적으로 해당 문서를 시군구 지자체에 제출해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모돈이 폐사하거나 폐사율이 일정 기준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즉시 신고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폐사축 처리 방법에 있어서도 합법적으로 인정되는 방법 외에는 허용되지 않을 전망입니다. 현행 가장 보편적인 방법인 퇴비사를 통한 처리가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관련해 농식품부가 별도의 연구용역을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번 '폐사두수 및 폐사축처리 기록 대장'은 현재 매년 발생하고 있는 사육돼지에서의 ASF 상황과 최근 폐기물(폐사체) 보관시설 등 8대 방역시설 설치 의무화 등에 따른 조치로 추정됩니다(관련
축산환경관리원(원장 이영희)이 지난 3일부터 경기와 전남을 시작으로 전국 축산농가 10만 7천호, 가축분뇨 처리시설 약 2천 개소에 대한 축산환경실태조사(이하 실태조사)에 본격 착수했다고 밝혔습니다(관련 기사). 지난 12일에는 강원·전북, 13일에는 충북·충남·경남, 16일에는 경북·제주 지역을 조사하기 시작했습니다. 조사 완료는 오는 9월까지입니다. 이번 실태조사에서 ▲축사 기본현황(사육마릿수, 축사시설 등) ▲에너지 사용현황(에너지 사용시설, 절감 시설 및 방법 등) ▲가축분뇨 관리현황(발생량, 처리 주체 및 방법 등) ▲폐사축 관리현황 ▲악취관리현황 ▲소독·방역 시설현황 등 축산환경 전반에 대한 현장실태를 파악할 예정입니다. 조사는 조사원이 직접 농가를 방문하여 이루집니다. 방문 일정은 해당 농가와 사전 조정됩니다. 현장조사 참여가 어려운 농가는 지자체 및 유관기관의 교육참석 시 전문 조사원을 파견하여 조사가 진행되도록 할 계획입니다. 이번 실태 조사 관련 문의 사항은 ARS(1533-0565)나 축산환경관리원 실태조사팀(044-550-5067)으로 연락하면 됩니다. 축산환경관리원 이영희 원장은 "축산업 최초로 진행되는 전국단위 축산환경실태조사는 지역
정부는 멧돼지를 통한 ASF의 대규모 확산을 대비, 중점방역관리지구뿐만 아니라 전국의 돼지농장을 대상으로 법 개정을 통해 8대 방역시설 설치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지자체를 통해 조속한 사전 설치를 독려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지금까지(3.2 기준) 전체 대상 농장 10곳 가운데 3곳은 사실상 해당 시설 설치를 끝맞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같은 사실은 농식품부의 가축전염병예방법 시행규칙 재입법예고 관련 문서에서 확인되었습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폐사축 보관시설을 제외한 7대 방역시설(내외부 울타리, 전실, 방역실, 입출하대, 물품보관시설, 방조방충망 등) 설치 완료 농장은 전체 대상 5.485곳 중 1.678곳입니다. 비율로는 30.6%입니다. 발생지역 33개 시군은 95%(642곳 중 608), 인접 지역 21개 시군은 64%(614곳 중 396), 그외 지역 시군은 16%(4,229곳 중 674)으로 각각 파악되었습니다. 충북 북부와 경북 북부로의 ASF 멧돼지 확산을 계기로 우선 추진하고 있는 4대 방역시설(내부울타리, 전실, 방역실, 입출하대)의 설치 비율은 더욱 높았습니다. 이미 3곳 가운데 1곳의 농장이 설치를 완료하였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