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환경관리원(원장 문홍길)은 축산 및 환경분야 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 등을 대상으로 '축산환경 특성화대학원' 지정·운영 사업을 이달 16일부터 31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습니다. 축산환경 특성화대학원에 지정된 대학은 최대 5년간 매년 4억 원(2억/2023년)을 지원받게 됩니다. 이를 통해 축산과 환경을 융합한 교육과정 학위제를 통해 환경친화적 축산업 전환에 기여하고, 국내외 축산환경 기술 정책변화에 대응 가능한 실무능력을 갖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축산환경 특성화대학원으로 지정된 대학원은 지정·협약 체결 이후 학생 모집 및 교육과정을 수립하여 올해 9월부터 개강합니다. 축산과 환경을 융합한 교과목으로 석·박사 학위과정을 개설하고, 산업체와 연계한 현장실습 및 취업연계 과정 등을 운영합니다. 문홍길 축산환경관리원장은 “축산환경 특성화대학원 지정·운영사업을 통해 국내 축산환경 관련 교육과정 및 전문가 양성체계를 구축하여 축산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라며 “향후 세부 운영방안(교육과정, 교재발간 등)을 고도화하여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고, 그에 맞는 취업 연계 지원 등을 통해 보다 많은 사회 공헌활동 및 교육기회를 제공할
환경부 소속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원장 노희경, 이하 질병관리원)이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야생동물질병 특성화대학원(책임자 연성찬 교수)과 22일 오후 2시부터 ‘야생동물질병 분야 정책 토론회’를 영상회의 방식으로 개최합니다. 이번 정책토론회는 크게 3부로 나눠 ASF, AI의 대응방안과 관련 기술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합니다. 1부 주제는 ASF입니다. 국내 ASF 발생현황(김용관 연구사, 질병관리원)과 ASF 진단기술과 백신기술 개발(송대섭 교수, 서울대), 야생동물 미끼 백신 개발현황과 전망(양동군 박사, 농림축산검역본부), ASF 백신 개발 현황(최주형 연구사, 질병관리원) 등이 발표됩니다. 2부에서는 AI를 주제로 한 전문가의 발표가 이어집니다. 3부에서는 질의·응답과 함께 종합 토론이 진행됩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야생동물질병 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특성화대학원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입니다. 야생동물질병 특성화대학원은 질병관리원의 야생동물질병 대응 및 백신 개발 등 관련 기초 연구지원 아래 지난해부터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습니다. 서울대와 전북대, 경상대 등 3개 대학이 특성화대학원으로 지정된 바 있습니다. 노희경 질병관리원장은 “이번
방역전문가 육성을 위한 수의방역대학원(관련 기사)에 이어 ASF, AI 등 야생동물 질병 대응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특성화대학원이 올 하반기부터 본격 운영됩니다. 환경부 소속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원장 노희경)은 올해 4월 전국 수의과대학(10개)을 대상으로 한 공모를 통해 최근 경상대, 서울대, 전북대(충북대·제주대 공동) 등 3개 대학을 야생동물질병 전문인력 양성 특성화대학원으로 지정하는 협약을 체결하고, 올해 9월부터 3년간 약 10억 5천만 원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들 선정 대학들은 앞으로 ASF, AI 관련 교과목 이수를 비롯해 전국 야생동물구조센터와 연계한 현장실습 등으로 구성된 석·박사과정을 통해 학교별로 20명 이상의 야생동물 질병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합니다. 당장 학생 모집을 통해 올해 9월부터 운영에 들어갑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은 대학과 공동연구, 현장예찰 실습, 견습생(인턴) 교육 등으로 대학원 졸업 후 실무 투입이 가능한 야생동물 질병 분야별 전문인력의 육성을 도울 계획입니다. 아울러 대학원 운영 기간 중 매년 성과평가를 통해 우수 성과와 개선사항을 찾아내 야생동물 질병 전문가 협력체계도 구축할 예정입니다. 노희경 국립야생동물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