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9월 한국 양돈농장에서 첫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병 이후, 2023년 1월 31일 현재까지 전국의 양돈농장에서 총 31건의 ASF 발병 사례와 2799마리의 ASF 바이러스 감염 야생멧돼지가 확인되었다. 야생멧돼지 개체군 내 ASFV의 순환은 국내 양돈농장으로의 전염 고위험성을 의미한다. 그러나 야생멧돼지에서 한국 ASFV 균주의 병원성 변화에 대한 정보는 아직 제공되지 않았다. 양돈농장에서 ASFV 균주의 병원성 변화를 조사하는 것은 그들의 변이를 예측하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이전 연구에서는 2019년부터 2021년 동안 순환한 ASFV 균주의 병원성 변화가 동물 실험을 통해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2022년부터 2023년 1월까지 양돈농장에서 얻은 열 개의 바이러스 중 잠재적으로 병원성이 감소한 두 개의 ASFV 균주(Korea/Pig/Hongcheon/2022 and Korea/Pig/Pocheon/2023)를 선택하고 그들의 병원성과 병리학적 특성을 추정했다. (바이러스가) 접종된 모든 돼지는 발열, 우울증, 식욕부진 및 압박 및 확장된 출혈림프절 및 비장 경색과 같은 일반적인 병리학적 손상을 보인 후 접종 후 8~10일 내에
ASF는 돼지에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잠복기가 짧고 즉시 폐사를 유발합니다. 육성돈과 비육돈, 모돈 등에 대한 아시아 유행 ASF 바이러스(ASFV)를 이용한 공격접종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본 연구팀은 베트남에서 분리된 ASFV를 접종한 3개월령 육성돈을 대상으로 임상 증상, 병리학적 병변, 바이러스 분포를 조사하고자 했습니다. 임상 증상은 매일 기록했으며, 폐사하거나 안락사한 돼지는 즉시 부검을 실시했습니다. qPCR을 사용하여 10개의 주요 장기에서 '바이러스 부하(Viral loads)'를 측정했습니다. 육성돈의 평균 잠복기는 이유자돈보다 더 지연되었고(5.2±0.9 dpi), 임상 증상은 이유자돈보다 육성돈에서 더 경미하게 나타났습니다. 육성돈의 소화기 및 호흡기 임상 증상은 생애 말기에 나타났지만 이유자돈에서는 감염 초기 단계에서 관찰되었습니다. 병리학적 특징은 다양한 장기에 출혈성 병변과 함께 심각하고 비특이적이었습니다. 바이러스 부하는 육성돈의 장기가 자돈의 장기보다 높았으며 '바이러스 사본 수(the number of viral copies)'는 편도선과 장(intestine)의 육안병변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ASF에 대한 백신이 없
본 원고는 지난 4월 27일 한국양돈수의사회 주최 '2017 수의양돈포럼'에서 발표되었습니다. 지난 2월 5일 충북 보은 젖소농장을 시작으로 O형은 8건, A형은 1건으로 총 9건의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O형의 경우는 충북보은 및 전북 정읍에서 발생하였고, A형은 경기 연천 젖소 농장에서 발생하였다. 2월5일에서 13일까지 9일간 발생이후 추가발생은 없었다. 보은 및 정읍에서 발생한 구제역 O형 바이러스의 유전자 계통 및 상동성(VP1유전자 부위이용)을 분석한 그 결과 O ME-SA 지역형에 Ind/2001d 유전자형으로 판명되었으며 세계표준연구소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FMDV Serotype O, O ME-SA/Ind/2001d 바이러스 중 2016년 러시아 소에서 발생한 바이러스와 상동성이 99.5%로 가장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그 외, 15년 방글라데시 돼지에서 발생한 바이러스와는 99.4%, 16년 베트남 소 발생 바이러스와는 99.2%, 15년 부탄 소에서 발생한 바이러스와는 99.1%의 상동성 순으로 나타났다. 14년∼16년 우리나라 발생 O형 구제역발생 바이러스의 지역형은 SEA, 유전자형은 Mya-98 로 이번 발생한 바이러스와 구별되며 유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