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ASF 감염멧돼지 발견지역 내 주요 환경을 대상으로 바이러스 찾기에 나섭니다. 최근 검출 성과가 전혀 없었는데 올해는 다를지 두고 볼 일입니다(관련 기사). 환경부 소속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원장 신동인)은 봄철 해빙기를 맞아 전국의 농경지, 하천 등 ASF 바이러스 양성 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이달 3일부터 환경조사에 들어간다고 최근 밝혔습니다. ASF 환경조사는 지난 '19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습니다. 매해 바이러스 검출 지역이 넓어짐에 따라 조사 지역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올해는 최근 ASF가 발생한 10개 시군(41개 읍면동)이 조사 대상입니다. 10개 시군은 원주, 충주, 괴산, 삼척, 영월, 봉화, 단양, 영주, 상주, 문경 등입니다. 이들 지역의 농경지, 매몰지, 하천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볼 예정입니다. 농경지 조사는 3일부터 약 3주 동안 진행되며, 농경지 주변 약 160개 지점에서 토양을 채취해 바이러스를 분석합니다. 집중 호우가 자주 일어나는 여름철부터는 관계기관과 협업해 경기·강원·충북·경북 등 43개 하천수 지점을 조사합니다. 감염멧돼지 매몰지 136곳에 대해서도 시료를 채취해 검사합니다. 한편 현재(4.3일 누적)까지 전국적으
환경부(장관 조명래)가 여름철(7~8월) 기간 집중호우에 따른 ASF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멧돼지 분변, 토양, 하천 등 환경시료에 대한 검사를 확대합니다. 환경부는 우선 하천을 통한 바이러스 확산 여부를 감시하기 위해 한강, 임진강, 한탄강, 사미천 등 접경지역 주요 하천 및 지류 하천 18곳에 대한 환경시료 검사를 확대합니다. 비가 내릴 경우 63개의 조사 지점에서 부유물 시료와 물, 토양 등을 채취하여 검사를 실시합니다. 또한, 주요 발생지역 내 바이러스가 환경에 남아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비빔목, 목욕장 등 인근 멧돼지 서식흔적뿐만 아니라 토양 등 환경시료 조사도 실시할 예정입니다. 특히, 비가 내린 후에는 토사유출 우려가 높은 양성매몰지의 환경시료에 대해 지속적으로 검사합니다. 파리·모기 등 곤충매개체로 인한 바이러스 감시도 강화할 예정입니다. 조사지역을 파주, 연천 등 2개 시·군에서 인제, 철원, 화천, 양구, 홍천, 춘천 등을 더해 8개 시군으로 확대하고, 검사주기도 월 1회에서 2주 1회로 강화할 계획입니다. 한편 현재까지 환경부가 실시한 환경시료 검사(누적 4508건)에서 ASF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된 예는 모두 33건(파주1
환경부(장관 조명래)가 최근까지의 야생멧돼지와 발생지 인근 하천에 대한아프리카돼지열병(ASF) 모니터링 검사 결과를 밝혔습니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장윤석, 이하 환경과학원)은 국내 야생멧돼지와 접경지역의 하천수 등에 대해 ASF바이러스오염 여부를 조사한 결과, DMZ 내 멧돼지 1개체(10.3 확진)를 제외하고 8일 기준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야생멧돼지(폐사체, 포획 또는 수렵한 개체)에 대한 검사에서 지난해 1월부터 전국적으로 1,157건('18년 319, '19년 838)을 분석한 결과, 최근 연천 DMZ 철책 양성 1건을 제외하고 다른모든 시료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올 10월부터는 예찰과정에서 멧돼지 분변(8개)도 채집하여 분석하고 있으며, 역시 모두 음성입니다. 또한, 발생농가 주변과 접경지역 하천에 대한 물시료와 하천 토양에 대한 검사에서도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하천 조사는 이번이 2차 조사이며, 국방부 협조로 북한에서 유입되는 지천을 비롯임진강 및 한탄강 본류, 한강하구(김포, 강화) 등 34개 지점의 물시료를 조사했습니다. 또한, 이번에는 하천토양도 41건을 추가 조사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