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제주에서 열린 제45차 한국동물위생학회 학술발표대회에서 이제는 양돈장에서 필수 설치 의무화 시설인 '전실'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어 주목받았습니다.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방역대학원 연구팀(조정준 수의사 외)은 전실이 실제 바이러스나 세균 등 병원체가 돈사 내로 유입·확산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지 등의 차단방역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서로 다른 비육돈 돈사를 크게 3종류로 나누어 마련하였습니다. ▶전실 완전 설치 돈사 ▶전실 불완전 설치 돈사 ▶전실 미설치 돈사 등. 전실 완전 설치 돈사는 돈사 입구에 신발을 갈아신기 위한 충분한 공간과 차단벽, 발판소독조 등이 마련된 곳입니다. 외부구역과 내부구역이 명확히 구분되었습니다. 이에 비해 전실 불완전 돈사는 내외부 구역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공간이 협소하고, 출입시 발판소독조 등에 의존합니다. 전실 미설치 돈사는 말 그대로 전실이 없는 돈사입니다. 출입이 보다 자유롭습니다. 결론적으로 내외부 신발 교체를 하는 곳은 전실 완전 설치 돈사 한 곳뿐입니다. 이어 연구팀은 이들 돈사 입구 바닥에 3종의 바이러스(PRRS, PED, CSF; 모두 백신 균주임)와
[본 컨텐츠는 다비육종의 기술정보지 '다비퀸 2020 겨울호'의 일부이며 다비육종의 허락 하에 게재합니다. -돼지와사람] 신규로 후보돈을 입식하는 농가에서 회장염 발생으로 인하여 후보돈이 급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후보돈의 경우 출혈성장염 형태로 나타나 급성으로 1~2일만에 검은색의 혈변을 보이며 폐사한다. 회장염은 지금처럼 온도가 낮은 동절기에도 발생하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회장염이 한 번이라도 발생한 농장은 상재화되어 자돈에게도 증체불량, 위축돈 증가, 사료요구율이 저하 되는 피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회장염에 대해 충분한 예방 및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회장염 상황 회장염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 양돈장에 만연한 질병으로, 국내의 약 96% 농장이 회장염에 감염되어있는 실정이다. 양돈 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도 약 90% 이상의 감염률을 보이고 있다. 돼지의 소화기 특징 소화기는 크게 위, 소장, 대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기능에 대해 알아보면 위(stomach)에서는 섭취된 영양소 중 알코올 정도만을 흡수한다. 위가 주로 하는 역할은 체내에 들어온 음식물을 분쇄하는 것이다. 소장은 흡수하기 위해 수많은 융모(villi
[본 컨텐츠는 다비육종의 기술정보지 '다비퀸 2019 가을호'의 일부이며 다비육종의 허락 하에 게재합니다. -돼지와사람] 지난해 8월, 아시아 최초로 중국에서 ASF(African swine fever, 아프리카돼지열병)의 발생보고가 된 후 1년 만에 국내에서도 ASF가 발생했다. 9월 17일, ASF가 국내에서 처음 발생한 후 지금까지 14개 농장에서 ASF가 확진되었다. 강화도 및 파주, 연천 등 경기북부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는데, 아직까지 감염 경로가 확인되지 않고 있어 많은 양돈사양가와 양돈산업 관련 종사자들의 공포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현재 경기도 연천지역에서의 14차 확진 이후 아직 추가 확진은 없는 상황이지만, 경기 양주 소재의 농장, 충남 홍성지역의 도축장, 경기 화성 소재의 농장 등 ASF 발생지역 이외의 지역에서 의심신고가 지속되고 있어 전국적으로 확산이 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 범국민적인 관심과 우려가 집중되고 있다. 만약 이러한 의심신고가 ASF 확진으로 이어진다면 경기도 이남으로 이어지는 방역대를 뚫고 ASF 바이러스가 남하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 경기북부 지역에서 ASF 발생 후 질병확산 차단을 위해 차단방역 강도를 더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