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드시 우리 농장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흉막폐렴 혈청형과 동일한 타입의 백신을 선택해야 하나요? 흉막폐렴은 전 세계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으며, 전염성이 매우 강하고, 다양한 임상증상을 보이는 질병이다. 흉막폐렴균의 다양한 혈청형들은 농장에 큰 손실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Gottschalk, 2019). 흉막폐렴균 혈청형들의 분포는 다양하고 고정적이지 않아, 농장, 지역, 국가 수준에서 계속 변화하고 있으며, 언제든지 발병하여 폐사 증가와 생산성 저하를 통해 농장에 큰 손실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요소로 우리 곁에 계속 존재하고 있다. 위의 자료에서와 같이 흉막폐렴균의 혈청형은 2022년 현재까지 총 19개의 혈청형이 확인되었다. 19개 혈청형 외에 아직 미분류 상태인 혈청형들도 존재한다. 지금도 새로운 혈청형이 계속 발견되는 중이기에 앞으로 혈청형의 개수는 점점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다양한 혈청형들의 존재로 인해, 농장 내 혈청형을 몇 가지로 특정지어 ‘균체(박테린)백신’과 ‘자가백신’을 통해 흉막폐렴을 방어하려 하는 것은 위험성이 컸으며, 무엇보다도 톡소이드의 부재로 흉막폐렴 컨트롤에 있어 핵심이 되는 Apx독소에 대한 방어가 전혀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류영수 교수의 '돼지부종병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개선 방안' 원고를 5회에 걸쳐 나누어 싣습니다. 모쪼록 돼지부종병 문제를 해결하거나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돼지와사람] 과거의 관행적인 부종병 관리법의 한계 돼지부종병 컨트롤을 위해 농장에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노력에 비해 그 효과를 보장하는 방법은 없었다. 지금까지 부종병 발생 농장을 보면, 일반적으로 돈사의 수세 소독과 음수의 소독을 전제로, 절식 또는 영양가 낮은 사료를 급여하는 방법으로 부종병을 관리해왔다. 그러나 이처럼 임신돈 사료를 자돈에 급여하는 등의 과거의 방식은 일시적으로 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이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사료·영양 측면에서도 사료 섭취량 절감과 단백질 함량 감소와 같이 사료 에너지를 제한하는 방식은 생산 성적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양돈의 제1 목표인 생산성 향상에도 부합하지 못한다. 이외에도 유기산과 식물 추출물 같은 첨가제를 사용하거나 유익균을 급여하는 같은 방식도 적용될 수 있으나, 비용대비 효과를 고려했을 때 농장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되기는 어려운 방법이다. 세균 증식 억제를 위한 경제적인 방법으로 산화아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