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RS 안정화 농장에서 PRRS 바이러스 감염이 생산성을 얼마나 저해할까? PRRS 음성농장 전환은 투자가치가 있을까?(질문국가 : 대한민국) PRRS 안정화 농장에서 PRRS 바이러스 감염이 생산성을 얼마나 저해할까? 만약 그렇다면, PRRS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어떠한 메커니즘에 의해 성장이 지연되는 것일까? PRRS 안정화 농장에서 생산성 향상을 위해 PRRS 음성 농장으로 전환하는데 투자할 가치가 있을까? PRRS 안정화 농장에서 발생하는 생산성 저하는? 위 질문에 대해서 단순한 결론을 쉽게 내릴 수도 있겠지만, 실제 이를 뒷받침하는 과학적 근거를 찾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다수의 논문들을 살펴보면 PRRS 바이러스가 급성으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농장뿐만 아니라 모돈과 포유자돈에서 바이러스가 순환하는 ‘불안정화 농장’에서도 번식 피해와 이유 전 자돈의 폐사율 증가, 질병 이환율 증가 등 피해는 지속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한편, 일부 농장에서는 ‘항체 양성’의 모돈이 PRRS 바이러스 ‘음성 자돈을 생산’하는 안정화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돈사와 비육사에서 PRRS 바이러스가 순환하는 형태도 다수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정화 농장’
PRRS 음성농장 자돈에 PRRS 생백신을 접종해도 될까?(질문국가: 대한민국) PRRS 음성농장이지만, 위탁 비육장에서 심각한 PRRS 피해가 발생해 자돈백신을 계획하고 있다. PRRS 백신을 접종하면 백신주가 농장에 퍼지는 위험이 있을까? 자돈 백신을 실시하기 전에 모돈에 백신을 하는 것이 필요할까? PRRS 백신주가 농장에 순환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생독백신을 접종하면 백신 바이러스는 며칠 동안 동물 사이에서 전파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PRRS 음성농장이라면 더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백신 바이러스의 순환은 해당 백신주가 숙주의 세포에서 증폭하는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음성농장에서 자돈에만 PRRS 백신을 접종한다고 해도, 백신주는 일부 모돈을 감염시키고 나머지 돈군에 전파될 가능성이 충분하다. 사실상 같은 농장에서 자돈 백신을 실시하면서 모돈군을 음성으로 유지하기는 매우 어렵다. 물론 상용화된 PRRS 생백신의 백신주는 다양한 기술로 병원성을 줄이는 약독화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전파되어도 농장의 큰 문제를 유발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일시적으로 백신 접종반응과 같은 수준의 미약한 임상증상은 관찰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