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9일 한국동물유전육종학회(회장 이준헌) 주최로 '유색돼지'와 관련한 심포지엄이 열렸습니다(관련 기사). 유색돼지는 우리나라 돼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YLD, 이른바 '백돼지'가 아닌 색깔있는 돼지를 말합니다. 이날 우리나라 토종돼지를 비롯해 버크셔, 토종개량돼지(우리흑돈, 난축맛돈), 두록(듀록), YBD 등의 유색돼지를 사육하고 연구하고 개량하고 유통하는 현장 전문가들이 나와 그간의 노력과 활동, 성과, 과제 등을 소개하는 시간으로 채워졌습니다. 첫 발표자인 이한보름 대표(송학농장)는 '재래돼지'라는 말부터 틀렸다고 주장했습니다. 재래돼지는 일본 제국주의 시대의 잔재이며, 대신 '(한국)토종돼지'라는 표현을 써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토종돼지가 경제성이나 생산성 모두 낮지만 대체불가한 그리고 사회적 가치가 높은 자산임을 강조했습니다. 송학농장은 국내 유일 민간이 운영하는 순종 토종돼지 사육농장입니다. 박화춘 대표(다산육종)은 20년간 개량해오고 있는 '버크셔K'의 육종학적 특징과 육질, 맛을 설명하고, 버크셔 중의 버크셔(pH, 가열감량, 젖꼭지수)로서 버크셔K에 대한 자부심을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무한가격경쟁 돈육시장에 종돈(품종)에 있어서
'한국동물유전육종학회(회장 이준헌, 충남대학교 교수)'가 오는 29일 오후 1시부터 국립공주대학교 예산캠퍼스 산업과학대학 본관 컨벤션홀에서 추계 심포지엄을 개최합니다. 이번 심포지엄의 주제는 '유색 한돈산업의 현재와 미래 발전방향'입니다. 유색 한돈은 물론 전체 한돈의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있을 예정입니다. 행사 당일 먼저 ▶토종돼지: 생산성이란 개념의 패러다임 대전환(이한보름 대표, 송학농장) ▶버크셔K 육종에 대하여: 꿈과 변화(박화춘 대표, 다산육종) ▶우리흑돈, 국내 흑돼지의 미래를 디자인하다(박복용 대표, 덕유농장) ▶제주재래흑돼지 유래 난축맛돈을 통한 육질 및 생산성 향상과 소비트랜드 변화(변영준 이사, 제주드림포크) ▶소비자의 트랜드 변화, 듀록에게서 찾다(박경원 대표, 호은농장) ▶새로운 교배조합, 차별화된 돈육 YBD(이일주 이사, 다비육종) 등이 발표됩니다. 이어진 토론회에서는 박희복 교수(국립공주대학교)를 좌장으로 발표자를 비롯해 오상현 교수(경상국립대), 성필남 연구관(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홍준기 연구관(국립축산과학원 양돈과) 등이 토론자로 나섭니다. 행사 참석 관련 문의는 한국동물유전육종학회(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