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 농장 ASF 발생 사례에 대한 대략적인 발생현황 정보가 확인되었습니다. 이번에도 농장 책임입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31일 밝힌 'ASF 발생현황 정보공개' 자료에 따르면 홍천 발생 농장은 먼저 시설에 있어 농장 출입구 고정식 차량소독시설이 지난 1월 동파 이후 고장난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퇴비사 측면에 틈새가 있는 것과 액비탱크가 내부울타리 내에 위치해 있는 것도 지적되었습니다. 방역관리에 있어서는 보다 많은 사항이 미흡사항으로 열거되었습니다. 농장의 신발소독조 및 전실 운영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방역실에 쓰이는 대인소독제의 유효기간이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농장 출입 차량뿐만 아니라 돈분수거용 손수레와 트랙터에 대한 세척 및 소독이 부족했습니다. 출입자에 대한 소독 실시 및 출입기록부 기록, 가축 폐사일지 작성 등을 제대로 하지 않았습니다. 이번 발생현황 정보공개는 가축전염병예방법에 따른 것입니다. 법은 가축전염병을 예방하고,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발생 농장에 대한 관련 정보를 공개해야 합니다. 그 밖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정보도 포함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도 이전과 마찬가지로 농장의 시설과 방역관리
자돈의 조발성 설사의 원인은 로타바이러스, 대장균, 클로스트리디움, 콕시듐, PED 바이러스, 델타 코로나 바이러스 등이 있습니다. 원인에 따라 과분비(대장균 등), 흡수능력 저하(로타 바이러스 등), 삼투압(과식 등) 등의 기전에 의해 설사를 유발합니다. 설사가 포유자돈에서 다발하는 이유는 위산 분비가 적고, 소화효소로 키모신이 주로 분비되는 생리적 특성에 기인합니다. 이 때문에 포유자돈은 면역글로블린 흡수를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얻는 대신 독소나 세균의 체내 유입에 취약해집니다. 정리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누구나 알고 있다고 생각은 하지만 막상 확실한 정답은 없는 양돈 사양관리 등에 관한 주제에 대하여 여러 가지 관점에 대한 근거를 제시해 보고자 합니다. 열한 번째 원고의 주제는 ‘재발정(Returns to Oestrus)의 이유와 원인’입니다. 번식돈군의 성적을 측정하는 지표로 우리는 흔히 '분만율(farrowing rate)'이라는 기준을 사용합니다. 분만율은 교배를 실시한 모돈 중 분만이 이루어진 모돈두수를 비율로 나타냅니다. 어느 한 배치에서 100두의 모돈을 교배하여 85복의 모돈이 분만하였다면 분만율은 85/100*100 = 85%입니다. 그렇다면 분만이 실패하는 이유는 어떤 항목이 있을까요? 표 1은 일반적으로 벌어지는 현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표 1. 분만이 실패하게 되는 원인들(1) 원인 발생률(%) 재발정(Returns to Oestrus) 10 유산(Abortions) 0.5 미임(found not in pig) 0.5 도태 1 폐사 1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분만 실패의 가장 큰 원인은 '재발정'입니다. 그러므로 재발정 비율을 낮추는 것이 분만율
지난달 22일 제주시 한림읍 금능리 금능농공단지의 양돈장의 자돈사에서 불이나 자돈 300마리가 질식사하고 소방서 추산 1348만4000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소방당국은 환풍기 과열로 인해 먼지에 불이 붙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요사이 텔레비전과 신문 지면을 통해양돈장의 화재 소식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국민안전처 산하 국가화재정보센터에 의하면2015년 1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돈사 화재는 누적 299건으로월 평균 13건이며 이는 2~3일에 1건씩 발생하는 셈입니다. 축종별 화재발생 건수는 동기간 우사가 349건으로 가장 높고 돈사가 그 다음으로 299건입니다. 그러나피해액 규모를 보면 돈사가196억여 원으로 가장 많습니다. 이는 단지 소방서 추산의 직접적인 피해액이며 실제 화재로 인한 간접 피해 및 돈사 복구까지의 기회비용까지 감안하면 엄청난 손해가 아닐 수 없습니다. 한편 돈사 화재를 원인별로 보면 앞서 제주 화재와 같이 전체 원인 중 전기적 요인이 166건(56%)을차지해 돈사의 전기시설 점검만으로도 화재를 상당 부분 예방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겨울철에는 보온에 따른 축사 내부의 습도가 상승함에 따라 전기 누전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