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월간 한돈 2월호(제510호)'에 실린 원고('안전한 한돈 생산을 위한 항생제 내성 이해와 신중한 사용')입니다. 저자의 동의 하에 게재됨을 알려드립니다. -돼지와사람] 농장에서 실천하는 항생제의 신중한 사용 (1) 예방 목적으로 남용되는 항균제 사용을 중단한다. 환절기와 같은 연중 특정 사육시기 또는 어떤 특정 사육단계처럼 각각의 양돈장에서는 고질적으로 발생하는 어떤 질병의 흐름이 확인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과거에는 이러한 질병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항생제를 어느 특정한 구간과 시기에 미리 적용하여 질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행적 조치를 해온 부분이 있다. 하지만, 세균성 질병이 아니거나, 항생제 투여가 필요한 시기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마음의 위안(?)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어왔다. 이렇게 사용되는 항생제는 비용뿐만 아니라, 같은 계열 항생제의 내성을 동시에 끌어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치료시 선택할 수 있는 항균제의 선택권을 줄인다. 따라서, 농장 내에서 처방이나 합리적인 목적 외에 사용되는 항생제가 있는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며, 확인되면 바로 중단하도록 한다. (2) 감수성 있는 항생제로 충
[본 글은 '월간 한돈 2월호(제510호)'에 실린 원고('안전한 한돈 생산을 위한 항생제 내성 이해와 신중한 사용')입니다. 저자의 동의 하에 게재됨을 알려드립니다. -돼지와사람] 마트에 들러서 축산물을 구매할 때 가장 많이 듣는 얘기가 '무항생제'이다. 이는 '사육기간 동안 항생제를 무분별하게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축산물 내 항생제 잔류가 없고 그래서 먹어도 건강에 해로움이 없다'는 대표적인 마케팅 메시지이다. 이렇게 마케팅 홍보에 활용되는 ‘무항생제’가 고급 축산물에 대한 대명사라고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별도로 짚어봐야 하겠지만, 대다수의 일반 소비자들은 축산물의 ‘무항생제’를 마치 야채나 과일에서의 ‘무농약’과 동일하게 생각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게 생각하게 된 배경에는 다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항생제 내성에 대한 지속적인 언론 홍보이다. 다른 하나는 항생제를 포함한 동물약품에 대한 잔류문제이다. 전자는 사람에 대한 항생제 내성이 점점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는 항생제를 대량으로 사용한 축산물에서 내성이 사람에게도 전파될 수 있다는 우려이다. 후자는 농장동물에 사용하는 모든 동물용의약품에 대한 공통 이슈로서 축산물 내 잔류물질로 인해서 섭취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