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이 신발 소독조에 대한 올바른 사용 방법을 공유했습니다. 신발 소독조는 신발을 통한 축사 내 오염균 유입 및 전파를 막는 역할을 합니다. 작업자는 축사로 들어가기 위해 내부 장화로 갈아 신기 전에 기존 장화는 신발 소독조에서 소독해야 합니다. 먼저 작업자는 장화가 분변 등 유기물로 오염된 경우 미리 물로 깨끗이 씻어 낸 다음 신발 소독조에 담가야 합니다. 이때 신발 소독조에 장화를 담그고 제자리에서 걸으면서 장화가 소독액에 충분히 잠기게 해야 오염균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장화를 소독하기 전과 소독하고 난 후의 대장균 검출률을 분석한 결과, 오염된 장화를 한번 담갔다 뺀 경우에는 7.4%의 대장균이 검출됐습니다. 반면 장화를 담그고 제자리걸음을 5회 실시한 후 뺐을 때는 대장균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신발 소독조의 소독액이 유기물에 오염되면 소독 효과가 낮아집니다. 이 경우 소독액을 즉시 새것으로 교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신발 소독조의 소독 효과를 높이려면, 소독제 제조사의 권장법에 따라 소독액의 희석배율과 교체 주기 등을 적절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4℃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는 소독 효과가 떨어지
지난해 6월 '돼지와사람'은 '발판소독조? 차라리 신발을 갈아신어라(관련 기사)!'라는 기사를 실어큰 관심을 모은 바 있습니다. 당시 해당 기사 조회수가 1천6백 회를 넘어섰습니다. 그로부터 1년이 지난 현재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사태로 전국이 뜨거운 요즘 다시금 발판소독조와 신발 갈아신기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대한한돈협회도'돈사입구와 돈사 간·돈방 간 신발갈아신기를 실천하자(바로가기)'고 나섰습니다. 양돈산업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관련 농장에서 실천하고 있는 사례들을 담은 사진들이 속속 공유되고 있습니다. 더불어행복한 농장의 김문조 대표는 사진을 올리며 "이동전용과 돈사별 장화를 구분하고 있다"며, "방역 준수를 통해 내 농장과 주변 농장을 보호하는 것이 내가 사는 길이다"고 강조했습니다. 금강축산 송일환 대표는 "돈사 내외부 전용 장화뿐만 아니라 이를 소독할 수 있는 소독조를 따로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수양돈연구소 정현규 박사는 "극히 적은 양의 바이러스라도 차량 바퀴나신발을 통해 ASF가쉽게 전파된다"며, "발판소독조만 믿는다면 ASF 바이러스에 내 농장을 내맡기는 것과 같다"고 지적하고 돈사 간 신발 갈아신기를 실천할 것을
이제는 농장에서 발판소독조를 흔히들 사용합니다. 신발을 통해 외부의 병원체가 농장 및 돈사 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거나 혹은 돈사 간 병원체의 전파를 막기 위해서 입니다. 축산 관련 행사장에서도 심심찮게 보입니다. 발판소독조는 어느덧 차단방역을 위한 상식이 되고 일상이 되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도드람양돈농협 정현규 박사는 발판소독조에 대한 잘못된 사용과 맹신을 경계할 것을 주문합니다. 발판소독조보다는 돈사 입구에서 그리고 돈사 간, 돈방 간 '신발 갈아신기'를 권했습니다. 이러한 주장은 지난 8일 경기도 농업기술원에서 열린 '구제역·AI 등 방역관리 권역별 순회교육'에서 나왔습니다. 이번 교육은 정부가 가축방역 담당 공무원, 가축방역사, 양돈수의사를 대상으로 구제역 재발방지와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유입 시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정 박사는 '소독제는 소독제의 종류와 접촉시간, 희석농도, 온도, 유기물에 따라 소독력이 다르게 나타난다'며 '접촉시간과 관련해 통상 소독제와 병원체가 15~20분 가량 계속 접촉이 되어야만 소독효과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농장에서 흔히 발판소독조에 잠시 발을 찍는 경우(?) 실제 소독효과는 미지수라는 것입니다. 더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