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장에서 PED로부터의 피해를 줄이려면 바이러스의 농장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단방역수칙 이행이 가장 중요합니다. 피해 발생 시에는 신속한 진단과 유전자 검사를 실시하고 바이러스가 신규 유입된 것인지 혹은 내부순환하고 있던 것인지를 확인합니다. 이를 통해 차단방역의 취약부분을 인지·개선해 재발 가능성을 낮춥니다. 아울러 평상시 모돈군에 대한 백신 접종을 통해 자돈에게 충분한 면역을 제공합니다. 백신의 경우 반드시 G2b 항원 기반의 백신을 선택합니다. 사독 주사용 백신 접종 전 생독 경구용 백신으로 IgA 점막항체를 유도합니다. 인공감염은 농장 내 바이러스를 상재화 시킬 수 있고 변종 바이러스 출현 및 다른 질병 전파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양합니다. ※ 참고 논문: 한국의 PED 역학, 백신 및 통제 전략에 대한 개요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올들어 야생멧돼지에서의 돼지열병 항원·항체 검출이 크게 증가하고 특히 북한과의 접경지역에서 주로 많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 이들 바이러스가 북한에서 넘어온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을 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정부가 그렇다고 볼 만한 근거는 없다는 공식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18일 세계일보의 '휴전선 멧돼지 돼지열병 검출 두 배 증가...정부 방역 비상(바로보기)'라는 제목의 단독 기사에 대해 "최근 경기북부, 강원지역 야생멧돼지로부터 검출된 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자 분석결과바이러스가 해당지역 멧돼지 간 순환 감염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들 바이러스가) 북한에서 넘어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세계일보는 이번 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의 농식품부‘야생멧돼지 돼지열병검출현황’ 제출 자료를 바탕으로 '올 상반기 야생멧돼지에서 돼지열병 항체 양성 사례가 113건, 항원 양성 사례는 6건으로 이 가운데 경기·강원 등 북한접경지역에서 주로 확인되고 있다'며,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과 관련해 북한의 ASF 바이러스가 휴전선을 거쳐 남쪽으로 넘어올 가능성이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