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번식용 모돈 1백만 마리를 감축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되었습니다. 모돈 1백만 마리는 우리나라 전체 모돈수(98.9만)보다 많은 숫자입니다. 향후 시행 과정에서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 돼지고기 가격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언론 등에 따르면 이 같은 계획은 지난 17일 열린 중국 농업농촌부의 '돼지 생산 조정 회의'에서 나왔습니다. 회의에서는 구체적인 돼지 생산 규제 목표가 제시되었는데 전국 모돈 숫자를 현재 기준에서 1백만 마리 감소한 3,950만 마리가 될 것이라고 알려졌습니다. 이 같은 조치는 과잉 공급으로 인한 가격 하락에 따른 것입니다. 중국의 돼지 가격은 상당 기간 동안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정체 중에 있습니다. 이에 원가 경쟁력을 갖춘 대형 규모 양돈장(기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중소 규모 농장들은 수익을 내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번 중국 정부의 모돈수 1백만 마리 감축 계획은 돼지 공급 과잉을 줄이고, 가격 안정을 꾀하겠다는 보다 강한 의지를 내보인 것입니다. 앞서 중국 정부는 지난달 출하 직전 돼지를 다시 살찌우는 방식인 '이중 비육'을 제한하고 비육돈 체중을 120kg 이하로 줄이는 등의 정책을 발
지난달 돼지고기 수입량은 5만1284톤으로 역대 월간 최대 수입량을 기록한 가운데(관련 기사) 폴란드산 돼지고기가 10년하고도 2개월 만에 수입이 재개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수입량은 43톤으로 적은 양입니다. 모두 냉동 갈비 부위입니다. 폴란드산 돼지고기는 지난 '14년 2월 19일자로 우리 정부에 의해 수입이 전면 금지된 바 있습니다. 야생멧돼지에서 ASF 발생이 확인되었기 때문입니다. 폴란드의 ASF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입니다. 최근(5.7일 기준) 자료에 따르면 올해 716마리의 감염멧돼지가 새롭게 발견되었습니다. 지난해와 다르게 올해는 아직까지 사육돼지에서의 발생은 없습니다. 그럼에도 이번에 폴란드산 돼지고기가 수입이 재개된 것은 지난 '22년 9월 개정된 '돼지고기 및 돼지생산물 수입위생조건' 때문입니다(관련 기사). 우리 정부는 폴란드, 스페인, 프랑스 등 유럽연합 주요 14개 돼지고기 수출국에 대해서 ASF가 발병하더라도 청정지역(비발생지역)에서 생산된 돼지고기 및 돼지생산물의 경우 우리나라로의 수출을 계속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었습니다. 이를 근거로 앞서 독일산 돼지고기는 지난해 10월 3년 만에 수입이 재개되었습니다. 이후 올해 4월까지
안녕하세요. 아이피드에서 전하는 '23년 3월의 '세계 양돈산업 동향'입니다. ▶ Rabobank, 2023년 상반기 글로벌 쇠고기 가격 하락할 것 ▶ 중국, 2023년 양돈 생산량 2% 감소할 것 ▶ 네덜란드, 질소 배출량 규제로 인한 농업계 반발 심화 ▶ 러시아, 종자 수입 난항으로 2023년 곡물 생산량 감소할 것 ▶ 브라질, 2023년 최대 옥수수 수출국 등극할 것
유럽 내 대표적인 ASF 발병국인 독일, 폴란드, 헝가리 등의 돼지고기를 조만간 국내 시장에서 다시 볼 수 있을 전망입니다(관련 기사).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지난 2일 유럽연합 주요 14개 돼지고기 수출국 - 독일·폴란드·헝가리·슬로바키아·벨기에·프랑스·핀란드·스페인·네덜란드·스웨덴·덴마크·오스트리아·아일랜드·포르투칼 등에 대해 ASF 관련 지역화(청정지역)를 인정하는 '돼지고기 및 돼지생산물 수입위생조건' 일부 개정을 확정·공포했습니다. 개정안은 2일부터 바로 적용됩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이들 국가에서 ASF가 발병하더라도 우리 정부가 인정하는 청정지역(비발생지역)에서 생산된 돼지고기 및 돼지생산물의 경우 상호 합의된 위생조건에 위반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로의 수출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또한, ASF가 발병해 현재 수입 금지 상태인 국가의 경우 우리나라로의 돼지고기 수출을 재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독일을 비롯해 폴란드, 헝가리, 슬로바키아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최근까지 독일과 폴란드, 슬로바키아에서는 사육돼지와 야생멧돼지 모두에서 ASF가 발병했습니다. 헝가리의 경우 멧돼지에서만 발병했습니다. 이번 개정안을 계기로 사실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