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다가오는 겨울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야생동물인 '산양'의 폐사 저감을 위해 강원도 설악산국립공원 등에 설치된 ASF 차단울타리의 개방을 확대 추진합니다(관련 기사). 환경부(장관 김완섭)와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이상기후로 인한 폭설 등 자연재해 발생 대비 산양보호 강화 대책’을 마련하고, 이달 28일부터 실행한다고 최근 밝혔습니다. 해당 대책은 권역별 민관 협의체 구성을 통해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사전 순찰 강화 등 예방조치를 강화하는 등이 주요 내용입니다. 여기에 ASF 울타리 부분 개방 확대를 통해 산양의 서식권 이동을 개선하겠다는 방안을 더했습니다. 현재 인제, 양구 등 강원 북부지역에 있는 ASF 울타리는 지난 5월부터 시범 개방과 함께 모니터링이 진행 중입니다. 미시령과 한계령 등 설악산국립공원, 양구 지방도 등 21개 지점이 대상 울타리로 선정되었는데 최근 2년간 ASF 미발생, 양돈농장 이격, 멧돼지 서식밀도, 산양서식지 등이 감안되었습니다. 지점당 4m 길이의 철망을 제거하고 2~3대 무인동작카메라가 설치되었습니다. 새로 개방이 추진되는 지점은 23개 지점입니다. 모두 미시령과 한계령 등에 위치해 있습니다
다음달 3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에서 'ASF 방역 관리실태 진단 및 야생동물 피해대책 방안 마련'을 주제로 토론회가 열립니다. 이번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김주영(경기 김포갑), 이기헌(경기 고양병), 임호선(충북 증평·진천·음성) 의원 등이 주최하며, 한국환경생태학회와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이 공동 주관해 진행됩니다. 다음달이면 국내 ASF 사태는 만 5년을 맞습니다. 그간 정부는 야생멧돼지를 통한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적인 상시 포획 및 수색 활동 외 5단계에 걸쳐 광역 단위 차단울타리를 설치한 바 있습니다. 현재 차단울타리는 그 기능을 다했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입니다. 울타리 경계 너머로 ASF에 감염된 야생멧돼지가 흔하게 발견되고 있습니다. 환경부도 일찌감치 추가 울타리 건설을 포기하고 야생멧돼지용 백신 개발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환경부는 ASF 재확산을 이유로 여전히 차단울타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 겨울 천연기념물 산양 5백여 마리가 폐사하는 일이 발생했는데 차단울타리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습니다. 이에 환경부는 일부 울타리 구간을 시범 개방하고 야생동물의 이동 등 생태 단절 영향 조사
정부가 천연기념물인 '산양' 폐사의 원인으로 최근 강하게 비판받고 있는 ASF 확산 차단 울타리에 대해 일부 개방을 추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12일 오후 서울역 인근 회의실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산양'을 보호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한다고 11일 밝혔습니다. 이날 자문회의는 환경부, 문화재청, 국립공원공단, 국립생태원, 양구 산양복원증식센터 등 관계기관을 비롯해 시민사회 및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겨울 기간 산양의 주요 폐사 원인을 파악하고 ASF 차단 울타리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 폐사한 산양 숫자는 537마리에 달합니다. 1년 전 15마리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폭설 속 산양의 먹이 이동을 막은 정부의 ASF 차단 울타리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환경부는 이번 회의 결과를 반영하여 다음달부터 내년 5월까지 1년간 ASF 차단 울타리 일부 구간을 시범 개방하고 야생동물의 이동 등 생태 단절 영향 조사를 수행한다는 계획입니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강원도 북부지역에 내린 폭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