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부산·파주 사례와 같은 사람에 의한 ASF 확산(관련 기사)과 포획 멧돼지 중복 신고(관련 기사) 등에 대한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ASF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이하 중수본)는 2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농림축산식품부(방역정책국장)-환경부(자연보전국장) 간 회의를 개최하고, 'ASF 인위적 확산 차단 대책'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대책은 지난해 12월 부산시에서 야생멧돼지 ASF 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올해 1월 파주시 양돈농장에서도 ASF의 인위적 전파로 추정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양 부처의 공통된 인식에서 나왔습니다. 구체적으로 △사육돼지 관리(농식품부 주관), △야생멧돼지 관리(환경부 주관), △담당자 역량제고(농식품부·환경부) 3가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먼저 ‘사육돼지 관리’는 농장주, 외국인 노동자 대상으로 위험·우려 지역 구분 맞춤 교육을 실시하고 외국인 전용 프로그램(영상물, VR 등)을 개발·보급합니다. 아울러, 19개 위험지역 시군 농장에 대한 정밀검사와 예찰을 강화하고, 가축·분뇨 운반차량에 대한 경로 분석을 실시하여 방역 위법 사항에 대한 감시체계를
[이 글은 세바(CEVA)에서 최근 발간한 ‘AFRICAN SWINE FEVER PREVENTION, GILT MANAGEMENT AND SUCCSSFUL RESTOCKING’에 실린 내용을 선진브릿지랩의 도움으로 번역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농장 내 반입되는 음식 궁극적으로는 농장 내엔 어떠한 식품도 반입되어서는 안 된다. 아래의 제시들 중 일부는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지만, 농장으로 반입되는 모든 식품이 안전해야 한다는 것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돼지고기를 재료로 한 식품이 없어야 한다. 돼지고기가 없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 공급업체로부터 음식을 확보해야 한다(그림67-68). 음식은 조리되어 있어야 한다. 통조림 가공식품은 고려가 가능하다. 음식은 오존실을 통해 소독되어야 한다. 위험을 줄이기 위해 농장내에서 채소를 재배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그림69). 음식이 큰 위험이긴 하지만, 흥미롭게도 오염된 물은 돼지들에게 더욱 위험하다. 물에 비해, 사료로 돼지를 감염시키려면 10,000개 이상의 바이러스 입자가 더 필요하다. 필수적으로 깨끗한 물을 공급해야 한다. 지역 하천 근처에서 폐사돈을 처리해서는 안 된다! 폐사체의 처리 해충과 깔집류 관리 처
지난달 30일 이후 야생멧돼지가 연일 뉴스에 오릅니다. 다름 아닌 북한의 아프리카돼지열병(이하 ASF) 발병 소식 때문입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5일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의 모두 발언에서 "멧돼지는 육지와 강과 바다를 오가며 하루 최대 15km를 이동한다."그리고 "북한의 ASF는 멧돼지를 통해 우리에게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고이에 접경지역을 비롯한 전국의 멧돼지 개체수를 최소화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전국의 양돈장들이 때아닌 울타리 설치로 부산해지고 있습니다. 정말 ASF에 감염된 북한의 야생멧돼지가 남한으로 내려올 수 있을까? 육지와 강, 바다로 통해? 관련해 국방부는 일각에서 염려하는 북한의 야생멧돼지가 우리쪽으로 유입될 가능성에 대해 매우 낮다고 이미 밝힌 바 있습니다(관련 기사). 육로의 경우 우리나라는 매우 특수한 상황입니다. 다른 나라와 달리 북한과는 DMZ(비무장지대)로 막혀 있어 사실상 멧돼지가 이를 통과해 무사히 남쪽으로 내려올 가능성이 적다는 것입니다. 멧돼지가 지뢰와 감시망, 철책을 뚫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더군다나 북한과의 왕래도 없습니다. 이와 관련해 철책 근무를 경험한 상당수의 양돈관계자들도
지난 21일 중국 본토와 인접한 대만 관할 진먼섬에서 발견된 돼지 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확인되었습니다.벌써 여덟 번째 사례입니다. 지난해 8월 중국에서 ASF가 첫 발병한 이후 그리고 12월부터 대만에서는 중국에서 유기했을 것으로 확신되는 돼지 사체가 꾸준히 발견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과 같이 일부에서 ASF 감염이확인되고 있습니다. 대만은 아직까지 ASF가 발병하지 않았습니다.
중국이 최근 ASF 발생 건수가 감소하고 있다고 밝힌 가운데 대만에서 이달들어 3건의 ASF에 감염된 돼지 사체가 발견되었습니다. 대만 행정원농업위원회는 이달 4일과 7일, 8일 대만 관할 섬 해안가에서 돼지 사체가 연달아 발견되었고 검사 결과 모두 아프리카돼지열병(이하 ASF) 바이러스가 확인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 바이러스는 정밀검사 결과 모두 중국에서 유행하는 바이러스와 100%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대만은 이들 돼지 사체는 모두 중국 대륙에서 투기해 바다를 통해 중국 인근 대만 관할 섬까지 떠내려 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대만에서 ASF에 감염된 돼지 사체가 대만 해안가에서 발견된 사례는 이번 건을 포함해 모두 6건입니다. 지난해 12월 1건, 3월 2건, 4월 3건 입니다. 아직까지 대만 본섬에서 발견된 사례는 없습니다. 중국의 ASF는 중국 당국의 발표에 따르면 발생지역은 늘었지만, 발생건수로는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얼핏 큰 틀에서는 통제 국면처럼 보입니다. 또한, 대만과 가까운 중국의 푸젠성과 광둥성, 저장성 등에서의 ASF 발생 보고는 최근까지 없었습니다. 그런데 대만 섬에서 ASF에 감염된 돼지 사체가 끊임없이
대만에서 세번째 아프리카돼지열병(이하 ASF)에 감염된 돼지 사체가 발견되었습니다. 대만 정부는 지난 12일 대만 진먼현의 섬(烈嶼鄉) 해안에서 발견된 자돈 사체를 대상으로 한 검사에서 ASF 양성반응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유전자검사 결과 중국의 ASF 바이러스 균주와 100% 동일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ASF 사체 발견은 대만에서 세번째의 일입니다. 앞서 12월(관련 기사)과 1월(관련 기사)에 돼지 사체가 발견되었고 ASF 검사 결과 모두 양성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대만 정부는 중국에서 ASF로 죽은 돼지가 대만까지 해류를 따라 떠내려 온 것으로 보고 있으며, 중국의 ASF 심각한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고 보고 있습니다. 한편 대만 정부는 돼지 사체가 발견된 지역의 인근 돼지농장을 대상으로 한 검사에서 모두 ASF 음성이라고 밝혔습니다. 대만은 ASF가 자국에 유입될 경우 800억 대만 달러(한화 3조원)에 달하는 경제적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