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이 두 달 만에 제한적이나마 구제역 비발생국 지위를 회복했습니다. 독일 정부는 지난 12일(현지시각) 세계동물보건기구(WOAH)로부터 독일 대부분 지역에 대해 '구제역 비백신 비발생상태' 지위를 인정받았으며, 이로써 돼지고기 등 육류 및 육제품에 대한 수출 제한이 해제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밝혔습니다. 독일에서는 지난 1월 10일 브란덴부르크주의 메르키슈오데를란트(Märkisch-Oderland) 지역의 한 농장 내 죽은 물소(water buffalo)에서 혈청형 O형 구제역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습니다(관련 기사). 방역당국은 즉각 해당 농장의 남은 물소를 모두 살처분하고 발생농장을 중심으로 3km 반경의 보호 구역과 10km 반경의 감시 구역을 설정하는 등 긴급 확산 통제에 들어갔습니다. 통제는 성공적이었습니다. 지금까지 추가 발생농장은 없었습니다. 이에 독일 정부는 바이러스가 검출된 브란덴부르크주와 베를린 일부 구역을 제외한 독일 전역을 '구제역이 없는 지역'로 인정해 줄 것을 세계동물보건기구에 요청했고 이를 인정받은 것입니다. 관련해 독일 식품농업부 Cem Özdemir 장관은 "이번 세계동물보건기구의 공식 인정은 제3국과의 (무역제한 해제) 논의
대만이 내년 아시아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공식적으로 구제역을 비롯해 ASF, 돼지열병(CSF) 등 3대 국가재난형 가축전염병에 대한 비발생 청정국가(비백신)가 될 전망입니다. 이후 대만 양돈산업의 목표인 2~3년 내 우리나라로 돼지고기도 수출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만 농업부는 지난 1일 대만 돼지열병 완전 퇴치 1주년을 맞아 세계동물보건기구(WOAH)에 돼지열병 비발생국 지위를 신청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대만은 중국 대륙과 가까이 인접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ASF 비발생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0년에는 WOAH로부터 구제역 청정국으로 공식 인정받았습니다(관련 기사). 이제 내년 돼지열병 청정국도 공식 인정받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구제역과 돼지열병 모두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상태의 청정국을 말합니다. 대만에서 돼지열병이 마지막으로 발생한 것은 지난 1994년의 일입니다. 이후 대만은 돼지열병 근절이라는 목표로 최근까지 3단계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습니다. 1단계: '21년부터 '22년까지 종합적인 백신 접종, 환경 위험 모니터링, 산업과의 대화 실시 2단계: '23년부터 '24년 6월까지 돼지열병 발병 위험
브라질 정부가 지난 2일(현지 시각) '구제역 백신 비접종 청정(free of FMD without vaccination)'을 선언했습니다. 이번 자체 선언은 세계동물보건기구(WOAH)의 국제 인증을 위한 절차의 일환입니다. 브라질 정부는 오는 8월 WOAH에 '구제역 백신 비접종 청정' 인정 요청서를 정식 제출한다는 방침입니다. 브라질은 앞서 지난 '18년 WOAH로부터 '백신 접종 구제역 청정(free of FMD with vaccination)'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바 있습니다. 이후 지역별로 순차적으로 백신의 보관 및 판매, 사용을 금지하였고, 최근 해당 조치를 국가 전 지역으로 확대했습니다. 아울러 현재까지 구제역 비발생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WOAH가 브라질의 이번 구제역 청정 인정 요청을 승인하면 내년 5월 WOAH 총회에서 정식으로 브라질은 '구제역 백신 비백신 청정국'으로 발표됩니다. 이날 Carlos Fávaro 농림축산부 장관은 "백신 접종 없이 구제역 청정국을 선언함으로써 브라질은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다"라며, "(이를 통해) 이익은 많고 접근이 어려운 일본과 한국에 (자국산 축산물을) 판매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