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년간 양돈장 내 분뇨 관련 질식 사고로 최소 16명이 죽거나 다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최근 전북 완주 양돈장 질식 사고(관련 기사)를 계기로 돼지와사람은 지난 '17년부터 최근까지의 양돈장 분뇨 질식 사고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그 결과 외부로 알려진 사고만 모두 7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먼저 연도별로는 '17년 2건, '20년 1건, '22년 1건, '23년 2건, '24년 1건씩입니다. 최근 3년간은 매년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월별로는 5월이 3건으로 가장 많고, 이어 9월이 2건, 12월과 1월에 각 1건씩 발생했습니다. 역시 여름철에 질식 사고가 다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이한 것은 겨울철에도 발생한다는 점이었습니다. 지역별로는 경기와 전북서 각 2건, 전남, 충남, 경북서 각 1건 등입니다. 7건 사고 모두 100%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모두 12명이 유명을 달리했습니다. 4명이 다쳤습니다. 사망자 12명 가운데 3명은 농장주입니다. 1명은 농장주의 아들입니다. 나머지 8명은 모두 농장 근로자입니다. 부상자 4명도 모두 농장 근로자입니다. 분뇨(액비)를 제거하거나 혹은 배관막힘 등으로 시설을 보수하는
유독가스 질식사고로 양돈장을 함께 운영하던 60대와 20대 부자(父子)가 모두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포천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7일 12시40분경 포천시 이동면 소재 한 양돈장에서 농장주와 그의 아들이 분뇨저장조 내에서 쓰러진 채 발견되어 출동한 119 구급대에 의해 심폐소생술을 받고 병원으로 이송되었지만, 안타깝게도 모두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사고 신고는 농장주의 동생이 발견해 이루어졌으며, 이들 부자는 냄새 민원을 줄여보고자 이물질 제거 작업을 하러 1.8m 높이의 분뇨저장소에 들어갔고, 황화수소에 중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저장조 내에는 다량의 황화수소가 검출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황화수소는 수소와 황이 결합한 악취(썩은 달걀 냄새)를 가진 무색의 유독 기체로 신경독성 작용을 나타냅니다. 고농도의 경우 1~2회의 호흡만으로 의식을 잃고 사망할 수 있습니다. 한편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이번 양돈장 질식사망사고에 앞서 가장 최근 발생한 유사 사고는 지난 '18년 4월 양돈장 집수조 내부작업 중 1명이 사망한 사례가 있습니다. 또한, '17년 5월에는 여주와 군위 소재 양돈장에서 연달아 질식사고가 발생해 각각 2명이 유명을 달리했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