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PMP)'은 양돈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만성 호흡기 질병이다. 이 질병은 높은 발병률과 상대적으로 낮은 사망률을 특징으로 하지만, 성장률과 사료효율을 감소시킨다. 전형적인 잠복기는 10~14일이며, 이 기간 동안 돼지는 섬모와 상피세포의 파괴로 인한 이차 세균감염으로 인해 식욕 감소, 기침 증가, 전반적인 쇠약이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강원도 내 PMP의 유병률과 진단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폐 병변을 육안검사하고 감염된 돼지의 조직학적 샘플을 분석했다. Friss 배양 배지를 사용한 후 DNA 분석을 위한 다중 PCR을 통해 병변 조직에서 '마이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에(Mycoplasma hyopneumoniae)'와 '마이코플라스마 하이오리니스(M. hyorhinis)'가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 조사 대상 돼지들 중 47.3%가 눈에 보이는 병변을 가지고 있었으며, 봄철에 눈에 띄게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병이 진행된 단계에서는 기관지 주변의 림프절이 비대해진 것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M. hyopneumoniae의 검출률은 폐 조직, 기관·기관지 솔생검(tracheobronchial brushes),
본 연구는 PCV2 및 PRRS 바이러스(PRRSV)에 감염된 자돈에서 림프절의 병변을 관찰하고, 면역조직화학염색(immunohistochemistry; IHC)을 통하여 각각의 바이러스 감염군에서 림프절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의 분포 및 변화상을 비교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과 숙주의 면역능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PCV2 단독감염군과 PCV2·PRRSV 혼합감염군에서는 림프절의 림프소절과 속겉질에 미만성으로 현저한 림프구 소실과 함께, 피질 및 수질부에 조직구와 다수의 다핵거대세포의 침윤이 관찰되었다. 반면 PRRSV 단독감염군에서는 항원에 대한 림프절의 반응으로 B와 T림프구 영역이 증가하는 소견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두 바이러스 모두 돼지의 면역을 억제시키는 바이러스이기는 하지만 면역기능에 영향을 끼치는 림프절에서의 병변은 다르며, 이에 따른 숙주의 면역능과 림프절과의 상관성이 두 바이러스가 서로 다른 것으로 생각된다. 돼지에서 PRRSV 감염으로 인한 개체의 면역억제 현상을 림프절 병변만을 토대로 설명하기에는 큰 무리가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폐장에서 PRRSV가 표적세포인 '큰포식세포(macrophage, 대식세포)'를 손상시
지난 28일 충북 청주에 위치한 제이원호텔 회의실에서 'MSY 개선 프로젝트: CLP 방법론 및 실증 사례'를 주제로 한 세미나가 열렸습니다. 이날 세미나는 세바코리아(대표 김용석) 주최했으며, 전국에서 활동 중인 돼지 전문 수의사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습니다. ▷폐 병변 검사 필요성과 감별방법(채찬희 교수, 서울대학교) ▷흉막폐렴 컨트롤과 CLP 이용 실사례(박병배 원장, 에스벳동물병원) ▷CLP 한국 및 유럽 현황(이현준 차장, 세바코리아) 등이 발표되었습니다. CLP는 글로벌 세바에서 전 세계적으로 운영 중인 '세바 호흡기 관리 프로그램(CEVA LUNG PROGRAM)'을 말합니다. 테블릿 PC와 전용 앱을 이용한 호흡기 전용 도축검사 도구입니다. 사진기와 녹음기, 검사서, 필기구 등을 이용한 기존 도축검사 방법에 비해 비육돈의 호흡기 문제들을 보다 쉽고 빠르게,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검사 직후 보고서가 바로 생성됩니다. 벤치마킹도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농장에서는 적절한 예방접종 프로토콜, 사양관리 방법 등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돈군 호흡기 건강상태를 점점 증진시킴으로써 농장 수익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첫 발표에 나선 채찬희
'파행(Lameness)'은 모돈의 도태를 포함하여 폐사 또는 안락사로 이어지는 주요 원인이 되며, 그로 인해 많은 농가에서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모돈의 경제성에 영향을 주는 파행의 원인이 되는 발굽 병변에 대한 국내 양돈장을 대상으로 모돈의 품종과 산차에 따른 발굽 병변의 발병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내 4개의 종돈장과 4개의 일반농장, 총 8개 농장 모돈을 대상으로 요크셔 263두, 랜드레이스 95두, 요크셔와 랜드레이스 교잡종인 F1 326두, 총 684두를 대상으로 발굽의 수평균열, 발굽의 수직균열, 발굽 끝 길이의 차이, 곁 발가락 길이의 차이를 관찰하고 평가하였다. 분만틀의 구조, 품종, 산차에 따른 발병률 및 발굽 병변별 발병 비율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발굽 병변의 발병률은 분만틀 구조에 따라서 펀치드 플라스틱에서 사육된 개체가 트라이바에서 사육된 개체보다 발병률이 높았으며 품종에 따라서 랜드레이스보다 요크셔의 발병률이 높았다. 발굽 병변별 발병률은 펀치드 플라스틱에서 사육된 F1은 곁 발가락 길이의 차의 발병률이 높았으며 펀치드 플라스틱에서 사육된 요크셔와 트라이바에서 사육된 요크셔와 랜드레이스는 발굽의 수평균열의
돈단독(豚丹毒)은 돈단독균(Erysipelothrix rhusiopathiae)에 의해 발생하는 돼지 질병입니다. 돼지의 피부 상처나 입을 통해 감염됩니다. 감염 후 패혈증을 비롯, 전형적인 붉은색 다이아몬드 형태의 피부 병변과 고열, 유산, 관절염, 폐사 등을 일으킵니다. 돈단독이 문제가 없는 농장이라고 하더라도 50%의 돼지는 편도 속에 균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돈단독은 인수공통전염병입니다. 돈단독은 백신을 통해 충분한 예방이 가능합니다. ※대표 사진 출처: '도축 병리 자료 모음집(농림축산검역본부, 2015)'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출하돈에서 폐렴 병변이 없다고 하더라도 절반 이상은 병원체(원인체)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이하 검역본부)의 '21년 출하단계 돼지의 호흡기 질병 조사 결과 보고'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총 60개 농가를 대상으로 도축돈 303두에 대한 검사에서 121두(39.9%)는 육안상으로 폐렴 증상이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182두(60.1%)는 육안병변이 없는 정상으로 판정되었습니다. 우선 폐렴은 기관지폐렴이 62두(20.5%)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기관지-간질성폐렴이 31두(10.2%), 흉막염 11두(3.6%), 간질성폐렴 8두(2.6%), 흉막폐렴 5두(1.7%), 기관지폐렴+흉막염과 기관지-간질성폐렴+흉막염이 각각 2두(0/7%) 등의 순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들 폐렴 병변을 보이는 개체 121두에서는 대부분 원인체(97두, 80.1%)가 검출되었습니다. 단독 감염이 26두, 혼복합 감염이 71두로 파악되었습니다. 원인체는 일반적인 써코 바이러스인 PCV2뿐만 아니라 변이종인 PCV3, PRRS, 흉막폐렴균(APP), 파스튜렐라균(PM), 연쇄상구균(SS),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라이니스(MHR), 유행성폐렴균(MHP) 등
[위축성 비염에 대해 새롭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글을3회에 걸쳐 소개합니다] ▶1회: 돼지 호흡기의 구조 및 세균 혼합감염 (PPDC) 위험성(바로보기) ▶2회: 자돈들의 콧속은 건강할까? - 비진행성 위축성비염의 숨은 위험(바로가기) ▶3회: 우리 농장 돼지는 편안히 숨쉬고 있을까? - 위축성 비염 평가 방식의 전환 돼지 콧속의 건강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돼지 호흡기의 1차 방어막인 비갑개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코 절단면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축장에서 출하돈의 코를 잘라 비갑개 위축여부를 점수화해 평가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코의 절단면에서 위축성 비염 병변지수를 평가하는 방식은 지금까지 5등급 기준이 주로 사용되었다 (Grade 0: 위축없음, 1: 조금 위축, 2: 중등도 위축, 3: 심각한 위축, 4: 매우 심한 위축, 5: 완전 소실). 이러한 5등급 평가법은 위축성 비염이 심각한 수준의 농장을 분류해 내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나, 일부 비갑개 연골이 부분적으로 소실된 경우는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등급이 매겨질 수밖에 없었다. 특히, 중등도 이하의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