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깥에 있는 사람들을 만나 가축분뇨를 주제로 대화하다 보면 어김없이 '가축 가운데 돼지의 분뇨량이 가장 많지 않느냐'라는 말을 심심찮게 듣곤 합니다. 그런데 이 같은 얘기는 산업 내부에서도 들립니다. 한때 정부 농정 책임자가 신문에 기고한 글에서도 발견됩니다. "우리나라 농촌 현장의 가장 고질적이고 해결이 어려운 민원이 축산 분뇨문제다. (중략) 국내에는 연간 5073만 톤의 엄청난 가축 분뇨가 발생한다. 분뇨량 중 돼지분뇨가 38%인 1921만 톤으로 가장 많다. - OOO 전 농식품부 장관 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인공지능 '챗GPT'의 답도 동일합니다. "네 사실입니다. 대한민국에서 가축 가운데 돼지가 생산하는 분뇨가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돼지가 다른 가축에 비해 사육 마릿수가 많고, 상대적으로 많은 분뇨를 배출하기 때문에 돼지 분뇨의 양이 가장 많습니다." 정말 사실일까요? 축종별로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O 전 장관이 인용한 자료는 지난 '22년 전국의 주요 축산 농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축산환경조사 결과 내용입니다(관련 기사). 돼지 분뇨량(1921만 톤)이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했으나 이는 소 분뇨량을 한육
본 연구에서는 국내 축종별 폐사가축의 적정 처리시스템 구축 방안을 모색하고자 주요 가축(한육우, 젖소, 돼지, 육계, 산란계, 오리) 사육농가와 도축장, 민간 위탁처리시설을 대상으로 폐사가축의 발생량과 처리 및 재 활용 방법을 조사하고, 향후 국내 축산업 내 축종별 폐사가축 발생량 및 방법별 처리량을 예측하였다. 연구 결과, 2021년 기준 연간 국내 폐사가축 발생량은 158천 톤으로 농가에서 92.2%, 도축장에서 7.8% 발생하였다. 축종별 폐사율은 한·육우는 2.4%, 젖소 4.8%, 돼지 19.9%, 육계 6.7%, 산란계 4.9%, 오리 3.8%로 나타났으며, 평균 체중은 한·육우 191.2 kg, 젖소 346.1 kg, 돼지 26.5 kg, 육계 0.2 g, 산란계 1.6 kg, 오리 0.6 kg으로 조사되었다. 폐사가축의 대표적인 처리방법으로는 농장 자체처리 시 직접 혹은 농장 내 렌더링 시설로 전처리 후 매장 혹은 퇴비화가 주로 진행되고 있으며, 민간업체에 위탁처리 시 대부분 렌더링되어 사료나 비료원으로 재활용되고 있다. 향후 증가하는 가축사육두수로 인해 폐사가축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폐사가축의 발생에서부터 처리-보관-재활용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