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면활성제는 물에 녹기 쉬운 친수성과 기름에 녹기 쉬운 소수성 부분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을 말합니다. 비누나 세제 등으로 많이 활용됩니다. 연구와 실험에 따르면 계면활성제를 돈사 세척에 활용 시 보다 효과적으로 바이오필름(미생물)을 제거하고 돈사 위생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설사 등의 질병 발생 감소와 출하성적 향상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계면활성제 사용은 분뇨처리 미생물 활동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극한 스트레스 조건에서도 생존하는 흉막폐렴균 흉막폐렴균은 숙주의 면역체계가 유도하는 산화스트레스, 항균, 혐기성조건, 양분의 부족과 같은 악조건에서도 '바이오필름(Biofilm)'을 형성하여 숙주 내 집락화 및 지속적인 생존이 가능하다. '바이오필름'은 세포 외 중합체 매트릭스로, 비생물적 성질의 세균 세포를 자동으로 응집, 보호, 부착시키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런 상태에서 흉막폐렴균은 최소한의 영양소만을 요구하며, 항균제를 포함한 화학적인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민감도가 최소화되어 생존력이 극대화되는 절대적인 동면 상태가 된다. 바이오필름은 주어진 환경조건에 따라 가역적으로 조절되는데, 이는 흉막폐렴균이 환경 조건에 따라 언제든지 다시 증식되고 독소를 생산하여 농장에 큰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흉막폐렴, 백신 접종으로 보균돈으로부터의 전파를 차단하자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흉막폐렴균은 한 번 농장에 감염되면 그 생존력이 굉장히 강해서 박멸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보균돈을 통한 지속적인 전파의 차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흉막폐렴균은 육성 비육돈에서 PRDC를 일으키는 주요 병원체 중 하나이다. PRDC에 기여하는 다른 병원체에는
우리나라 양돈장의 안타까운 현실 가운데 하나는 돈사 내에서 소독제 사용을 맘껏 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유는 돈분의 발효를 위해 상당량의 미생물제를 사용하는데 소독제 사용이 미생물에 상당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축산전용 계면활성제(이하 계면활성제)'의 개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빠른 시간 안에 축사 내 유기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둘째는 농장 내 사람, 가축, 미생물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계면활성제는 이미 양돈선진국가에서는 돈사 내 수세 절차에 기본에 포함되어 있다. 계면활성제의 사용은 우리 축산농가에도 중요한 장점이 있다. 우선 같은 양의 유기물을 제거할 때 시간뿐만 아니라 물사용량이 줄어든다. 아울러 노동시간도 감소한다. 실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있는 농가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물로만 사용할 때 4번 정도 반복 수세를 했는데 사용 후에는 2번 정도로 수세 시간이 많이 줄어 들었다는 얘기를 흔히 듣는다. 그에 따라 물사용량도 줄어드는 것은 당연한 얘기다. 사용정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통상 물사용량을 최소 약 30% 정도 절약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계면활성제와 소독제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을 하자면, 일단 계면활성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코로나19 사태가 좀처럼 해결되지 않고 있다. 양돈에서는 다른 코로나바이러스가 원인인 PED(돼지유행성설사병)가 전국적으로 계절에 상관없이 다발하고 있다. PED의 경우 경구를 통한 물리적인 전파가 주 원인이므로 돈군 흐름 관리에서 돈사내에 남은 유기물 즉, 남은 분변을 깨끗하게 처리하는 게 중요한 포인트이다. 이번 글에서는 '농장내 차단방역의 기본인 축사내 수세소독'에 관해 설명하고자 한다. 물로만 수세 시 유기물 제거가 잘 되지 않는 이유는 바로 ‘바이오필름’ 축산에서 '바이오필름(Biofilm)'은 우리말로 번역하면 ‘생물막’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운동성을 가진 미생물은 여럿이 있을 때 생존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축사 바닥이나 벽에 붙으면 서로간의 접착을 통하여 군집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들은 증식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아미노산이나 무기염류로 바이오필름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고 또한, 바이오필름 안에서 지속적으로 증식을 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이러한 바이오필름의 양은 많아진다. 이에 따라 농장은 물리적이나 화학적으로 제거하기가 어려워지게 되며, 축사에서 지속적인 감염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