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사육돼지(경기 양주)에서 역대 12월 처음으로 ASF가 발생한 가운데 전국적으로 15일 만에 ASF 감염멧돼지가 추가로 발견되었습니다(관련 기사).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따르면 해당 감염멧돼지는 지난 17일 경북 문경 동로면 간송리 소재 야산에서 폐사체, 정확히는 뼈 위주 형태로 발견되었습니다. 발견 당시 폐사한지 35일이 경과된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20일 정밀검사 결과 최종 ASF 양성으로 확진되어 역대 4201번째(올해 713번째) 감염멧돼지로 기록되었습니다. 이번 감염멧돼지는 지난 5일 이후 정말 오랜 만에 추가 발견입니다. 이로써 이달 ASF 감염멧돼지 발견숫자는 6건(마리)으로 늘어났습니다. 12월은 야생멧돼지의 번식기가 본격 시작되는 달입니다. 이 때문에 멧돼지의 이동과 접촉이 잦아 감염멧돼지가 많이 나오는 시기입니다. 그런데, 올해는 발견건수가 너무 적어 전혀 다른 양상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19년 12월 22건 ▶20년 12월 79건 ▶'21년 12월 128건 ▶'22년 12월 42건 ▶'23년 12월 92건 ▶'24년 12월 현재 6건 이런 추세가 이달 남은 기간까지 계속 지속된다면 역대 가장 적은 발견건수를 기록할 것이
최근 닭과 오리에서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소에서는 럼피스킨이 연달아 발생하고 있습니다. 오늘(3일)만 하더라도 얼마 전 전남 강진과 세종에서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가 최종 '고병원성'으로 확진되었으며, 충북 보은과 경북 고령에서는 럼피스킨 발생이 추가되었습니다. 그야말로 가축전염병 대혼란 상황입니다. 이런 가운데 돼지에서의 ASF는 지난달 3일 이후 한 달간 잠잠한 상태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야생멧돼지에서의 ASF는 다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기존 발생지역에서 몇 달 만에 새롭게 발견되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오늘은 문경과 안동에서 감염멧돼지가 각각 7개월, 3개월 만에 재확인되었습니다. 결국 현재 ASF도 위험하긴 마찬가지입니다. ※ ASF 실시간 현황판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최근 경북 영덕(1.16)과 경기 파주(1.18) 사육돼지에서 연달아 ASF가 발생했습니다. 야생멧돼지에서의 ASF 감염사례는 경북을 중심으로 7개월 연속 증가 추세입니다. 전국의 지자체는 ASF의 유입과 발생을 막기 위해 긴급 방역 조치에 나선 모습입니다. 이들 지자체의 방역 현장 모습을 사진 중심으로 모아 보았습니다. 충남 아산시는 설 명절을 맞아 고향 방문객 등 유동인구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설 연휴(9일~12일) 기간 24시간 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근무 체계를 유지하고, 연휴 직전과 직후인 8일, 13일을 ‘축산농가 일제 소독의 날’로 지정해 가금·양돈 농장과 축산관계 시설 및 축산차량에 대한 집중 소독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경기 고양특례시는 인접한 파주시에서 발생한 ASF 유입 방지를 위해 구산동 양돈 밀집단지에 ASF 방역 통제 초소를 설치, 외부 차량에 대한 방역 조치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고양축산농협, 축협 공동방제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등 민·관 협업체계를 강화하여 관내 양돈농장 외부 및 주요도로에 대한 방역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경남 밀양시는 관내 전체 양돈농가에 대해 방역전담관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밀양축협과 함께 방역 차량을
지난달 ASF 감염멧돼지의 발견건수뿐만 아니라 발견지역 숫자가 전달에 이어 또 다시 모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려스럽지만, 이번 겨울 ASF의 추가 지역 확산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따르면 11월 ASF 감염멧돼지 발견건수는 전국적으로 3개 시도 17개 시군에서 모두 85건(마리)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달과 비교해 발견시군은 3개 시군이, 그리고 발견건수는 12건이 각각 증가한 것입니다. 발견건수 증가는 5개월 연속입니다. 발견시군 증가는 3개월 연속입니다. 증가세가 '매우 뚜렷하다'는 의미입니다. 11월 85건 가운데 62건(72.9%)은 경북에서 나왔습니다. 나머지는 충북 15건과 강원 8건입니다. 경기는 17개월째 발견 소식이 없습니다. 경북 62건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포항 7건입니다. 포항에서 감염멧돼지가 처음 나온 것은 10월이었습니다. 그리고 두 달 만에 어느새 8건으로 늘어났습니다. 8번째 포항 감염멧돼지(#3390) 발견지점은 역대 최남단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에 포항과 인접한 시군인 영천과 경주 등과 더욱 가까워졌습니다. 경북 영주(#3385)와 문경(#3384)에서의 감염
경북 문경시는 지난 15일 ASF 확산 방지 관련 보도자료를 배포했습니다. 그런데 함께 제공한 사진이 논란입니다. 사진에는 한 사람이 소형 분무기를 이용해 풀숲에 소독제를 뿌리고 있는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한눈에 봐도 소독이 될리 만무합니다. 바이러스를 죽일려면 적절히 희석된 소독액이 충분히 뿌려져야만 하는데 사진은 그렇지 않습니다. 정부가 농가에 누누히 얘기하는 '방역미흡' 사례로 지적될 만합니다. 한편 문경에는 ASF 감염멧돼지가 올해 2월 첫 발견 이후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습니다(15일 기준 누적 15건). 최근에는 시내와 인접한 지점에서도 확인되었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최근 감염멧돼지 발견건수가 유의적으로 다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멧돼지의 본격 번식철(11~3월)을 앞두고 지역 확산과 함께 사육돼지 추가 발생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따르면 24일 경북 문경에서 감염멧돼지 한 마리가 추가되었습니다. 해당 멧돼지는 지난 22일 문경시 가은읍 하괴리 소재 하천에서 주민에 의해 폐사체로 발견되었습니다. 2개월령 암컷으로 발견 당시 죽은지 5일이 경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4일 정밀검사 결과 ASF 양성으로 진단되었습니다. 그리고 문경에서 10번째, 이달에만 7번째 감염멧돼지로 기록되었습니다. 이달 감염멧돼지 7건, 분명 작은 숫자입니다. 하지만, 이들이 최근 11일 동안 추가되었다는 점과 지난 두 달간 발견실적(8월 8건, 9월 3건)과 비교하면 해석이 다를 수 있습니다. 감염멧돼지 발견에 변화의 조짐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멧돼지의 번식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11월부터 감염멧돼지 발견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을 예고하는 셈입니다. 또한, 원주, 문경, 영주, 단양 등에서 발견되어 추가 확산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높이고 있습니다. 지난 3년간의 발견 경향을 보면 11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감염
ASF 감염멧돼지가 25일 만에 추가 확인되었습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따르면 해당 멧돼지는 지난 13일 문경시 농암면 궁기리 소재 산아래에서 주민에 의해 폐사체로 발견되었습니다. 2개월령 수컷으로 발견 당시 폐사한지 3일이 경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리고 14일 정밀검사 결과 최종 ASF 양성으로 진단되었습니다(#2662). 이번 문경 감염멧돼지는 이달 들어 첫 발견사례입니다. 지난달 19일 이후 25일만에 추가 발견입니다. 새정부 들어 감염멧돼지 포획과 수색 실적은 어찌된 영문인지 눈에 띄게 줄어든 상태입니다(관련 기사). 멧돼지 정책에 있어 새정부에서 달라진 게 없다는 것이 비공식적으로 파악된 정부 관계자의 설명입니다만, 감염멧돼지 감소 이유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에는 사육돼지에서의 발생건수(4건; 춘천2, 김포1, 파주1)가 야생멧돼지 발생건수(3건)를 넘어서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발생농장과 감염멧돼지 사이의 연관성을 설명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한편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은 이달 17일부터 올해 말까지 폐사체 수색 전문 탐지견 9마리를 충주, 괴산, 문경 등 집중관리지역에 투입합니다(
지난달 ASF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 '양성멧돼지'의 발견건수가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본격적인 확산을 예고하는 듯해 불안한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2월 전국적으로 발견된 ASF 양성멧돼지 발견건수는 모두 228건(강원 139, 충북 60, 경북 28, 경기 0)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월(152건)보다는 75건(49.3%), 전년 동월보다는 60건(35.9%) 각각 늘어난 수준입니다. 모두 큰 폭의 증가입니다. 또한, 2월 228건은 지난 '19년 10월 양성멧돼지 첫 발견 이후 월간 최고 기록입니다. 직전 최고기록은 '19년 3월의 기록인 189건이었습니다. 2월 양성멧돼지 발견건수가 이렇듯 크게 증가한 것은 무엇보다 충북과 경북에서 발견건수가 크게 증가하며 더해진 때문입니다. 월간 발견시군 숫자도 17개로 역대 최고입니다. 양성멧돼지 확산의 정도와 강도가 세진 결과입니다. 구체적으로 충북의 경우 1월 25건에서 2월 60건으로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났습니다. 경북의 경우는 2월 첫 확산으로 불과 한 달 만에 3개 시군(상주, 울진, 문경)서 29건이나 추가되었습니다. 강원의 경우는 2월 139건으로 전월 대비 14건이 증가
ASF 야생멧돼지가 정부의 통제 전략을 비웃으며 연일 확산되고 있습니다. 어제인 22일 경북 문경에서도 양성멧돼지가 처음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같은 날 양성멧돼지 월간 발견건수의 역대 최고 신기록을 수립했습니다. 한돈산업에게는 안타까운 일이 벌어진 것입니다. 먼저 문경 확산 소식을 전하면 해당 멧돼지는 지난 17일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 소재 과수원 인근 산자락에서 폐사체로 발견되었습니다. 4개월령 숫컷으로 발견 당시 폐사한지 2일이 경과한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그리고 22일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의 검사 결과 ASF 양성으로 확진되었습니다(#2220). 결국 문경으로까지 ASF가 확산된 것입니다. 이번 문경 양성멧돼지 발견지점은 지난달 28일 충주 수안보면에서 발견된 양성멧돼지(#2026)와 4.7km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로써 경북의 양성멧돼지 발견시군은 상주와 울진, 문경 등 3곳으로 늘었습니다. 모두 이달 벌어진 일입니다. 전국적인 발견시군은 28곳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문경은 동쪽으로는 예천, 남쪽으로는 상주, 서쪽으로는 괴산, 북쪽으로는 제천, 충주, 단양 등과 경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한편 이날 문경 양성멧돼지 외에 다른 양성멧돼지가 24건이
지난 17일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ASF 바이러스 양성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로써 경북에서 양성멧돼지 발견시군은 상주, 울진, 문경 등 3곳으로 늘었습니다. 추후 상세 보도 예정입니다(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