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야생멧돼지 통제 관련 환경부가 올해 들어 확실히 바뀐 모습입니다. 포기까지는 아니더라도 확실히 소극적 대응으로 일관하는 모양새입니다. 이른바 공무원의 '무사안일'을 비판할 때 흔히 쓰는 '복지부동(伏地不動)', 그 자체입니다. 멧돼지 확산에 따른 고통과 피해는 오로지 한돈산업의 몫이어서 심각하게 우려를 표명할 수 밖에 없습니다. 환경부가 지난해와 달리 올해 바뀐 점은 크게 3가지입니다. ▶신규 확산에 대한 소극적 대응 ▶양성멧돼지 발생 보고 중단 ▶대안없는 광역울타리 설치 중단 등입니다. 신규 확산에 대한 소극적 대응 지난 23일 강원도 영월에서 47일만에 야생멧돼지에서의 ASF 발생이 확인되었습니다. 그것도 환경부의 차단울타리 경계 밖에서 폐사체로 발견되었습니다. 차단울타리가 또 뚫린 것인지 아니면 처음부터 울타리 범위를 적게 잡았는지 알 수 없습니다만, 한돈산업으로서는 여하튼 화들짝 놀랄만한 일입니다. 경기·강원에 이어 충북과 경북, 그외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이번 사례에 대해 환경부는 이에 대해 공식적으로 침묵했습니다. 통상 보도자료를 통해 상황 설명과 함께 향후 대응을 알리는 것을 하지 않았습니다. 이와 같은 일은
지난 22일 볕이 뜨거운 오후에 일단의 사람들이 아프리카돼지열병(이하 ASF)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요구하는 청와대 피케팅 시위를 벌였습니다. 이날은 3번째 피케팅 시위입니다. 한 명으로 시작한 피케팅이 어느새 8명으로 늘었습니다. 이들은 정부에 ASF 관련 4가지 선제적인 대책을 요구했습니다. ▶유입방지 ▶확산방역 ▶수급물량 ▶살처분 등 입니다. 중국산 소시지가 버젓이 유통되고 있는 현실에 실질적인 유입방지책을 마련하고, 허술하게 운영되고 있는 방역 소독시스템을 제대로 시행하고, 중국발 ASF 여파로 예상되는 돼지고기 수급안정책을 마련하고, 사회적 갈등과 트라우마를 줄이는 살처분 대책을 세워달라는 것입니다. 피케팅 시위를 처음 시작한 이도헌 대표(성우농장)는 "ASF가 국내에 발병하면 농장뿐만 아니라 농장에 사료를 공급하는 대리점, 운송기사, 육가공, 식당, 살처분 작업자 등 모두에게 큰 피해와 고통이 따른다"며, "이 모든 위험을 정부의 탁상행정, 행정편의와 맞바꿀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우리나라와 같은 개방된 나라에서 가축질병 방역은 농림축산식품부나 양돈업계만 감당할 차원은 아니다"고 덧붙였습니다. *본 기사는 서은경 작가의 페이스북 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