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톨 등 좁은 공간에 갇힌 임신한 암퇘지는 종종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목적이 없는 행동인 '정형행동(stereotypic behavior)'을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격리된 모돈의 행동, 생리학 및 면역의 변화를 조사하고, 정형행동이 스트레스 증가의 징후이며 모돈이 불리한 환경에 대처하거나 적응하는 데 기여하는지 예측하는 것이다. 건강한 3산차 임신모돈 50마리(Large White × Landrace)를 임신스톨(210cm × 57.5cm × 97.5cm)에 개별적으로 수용하고 사료와 물통을 제공했다. 임신 초기, 중기, 후기의 행동을 관찰하고 여러 생리적·면역학적 매개변수를 분석했다. 그 결과,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옆으로 누워 있는 행동은 크게 증가한 반면, 서 있는 행동과 엎드려 누워 있는 행동은 크게 감소했다(p < 0.05). 가짜 씹기(Sham-chewing), 막대기 물기(bar-biting), (사료)통 물기(trough-biting), 파헤치는(rooting behavior) 행동은 크게 감소했다(p < 0.05). 또한, 임신 기간에 생리적, 면역적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가짜 씹기 행
Actinobacillus(A.) pleuropneumoniae는 돼지가 유일한 자연 숙주이며, 돼지 흉막폐렴(porcine pleuropneumonia)의 원인체로 전 세계적으로 양돈산업에서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발생하는 돼지 흉막폐렴에 대한 병리학적 연구를 통하여 병변의 특징을 파악하였으며, 병변을 유발하는 A. pleuropneumoniae의 혈청형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또한 배양된 균체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재료로 최근 5년 동안 제주도 소재 24개 양돈장으로부터 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병리학교실에 병성감정 의뢰된 돼지 흉막폐렴 시료 가운데 PCR을 통해 A. pleuropneumoniae 감염이 확인된 총 50개의 폐장 시료를 실험에 공여하였다. 연구 결과 총 50두 중 심급성 23두(46%), 급성 22두(44%), 만성 5두(10%)로 분류되어 본 실험에서는 흉막폐렴이 주로 심급성 및 급성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연령에 따른 흉막폐렴의 발생 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전체 50두 중 43두(86%)가 3∼4개월령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주지역 돼지 흉막폐렴이 연중 발생하
농장에서 회장염을 컨트롤하려는 경우 항생제 또는 백신 프로그램의 적용에 앞서 '농장 관리에 대한 점검'이 우선됩니다. 백신 투약은 올바른 경로를 통해 시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백신 전후 3일간 항생제 사용은 금물입니다. 자가면역 방법은 정확한 재료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점 등의 이유로 추천되지 않습니다. 정리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만성 회장염은 일선 농장에서 상당 발생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가운데 대부분 간과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료효율뿐만 아니라 일당증체를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관리가 요구됩니다. 자돈을 다른 농장(특히 톱밥돈사)으로 전출보내는 경우 백신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회장염이 문제가 되는 농장의 경우 지속적이 항생제 투여보다 백신 활용이 추천됩니다. 정리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