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만간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PED 백신이 전 세계 가장 큰 양돈시장인 중국에 정식 수출됩니다. 코미팜(대표이사 문성철)은 지난 19일부로 자사 PED 백신인 '프로백™ 피이디에프씨(Pro-vac™ PED-Fc, 이하 피이디에프씨)' 제품이 중국 정부로부터 정식 판매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피이디에프씨는 코미팜이 국내외 특허를 보유한 생체분자 발현기술(IgG Fc)을 활용하여 개발한 신개념의 PED 백신입니다. 기존 불활화 백신 대비 PED 바이러스에 대해 보다 빠르고 강력한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중국은 수입산 동물약품의 허가등록 절차가 매우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피이디에프씨가 중국에 정식 판매 허가에 성공한 것은 코미팜의 기술력을 인정한 것입니다. 코미팜은 이번 허가를 통해 중국으로의 시장 외연을 확장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했으며 연간 50억~100억원의 매출 증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이어 중국에 추가 백신 등록을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코미팜 관계자는 "이번 중국에서의 PED 백신 제품 등록은 지난 10여년간 직원들의 각고의 노력의 성과이며, 앞으로 중국 시
중국의 돼지 사육규모가 '18년 ASF 발생 이전으로 회복된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의 국가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전국의 번식 모돈은 4,564만 마리이며, 살아있는 돼지는 4억 3,900만 마리입니다. 이는 2017년 말 기준 각각 102.0%, 99.4%에 해당합니다. 이를 근거로 최근 중국 농업농촌부는 "올해 상반기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량이 완전히 회복되었다"고 선언했습니다. 중국은 2018년 8월 ASF 발생 이래 거의 50%에 가까운 사육돼지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복구에는 최소 5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보았습니다(관련 기사). 그런데 중국은 거의 3년 만에 복구를 이뤄 낸 것입니다. 이에 따라 전 세계 돼지고기 무역에 있어 중국발 ASF 변수는 영향이 미비할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해 네덜란드의 글로벌 금융기업, '라보뱅크'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의 2분기 도축률이 예상외로 높아 상반기 돼지고기 생산량이 전년 동기 대비 35.9% 증가했다"며, 이는 "3분기 중국의 수입이 적을 것임을 의미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올해 전체 수입 물량은 지난해의 기록적인 수준에서 10~20% 감소할 것"이며, "이는 세계 시장에서 돼
중국이 최근 자국 내 모돈두수가 ASF 발생 이전의 95%까지 회복했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농업농촌부는 지난달 18일 홈페이지를 통해 "올해 전국적으로 번식 모돈의 재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기본 생산 능력이 계속 회복되고 도축용 생돈수가 크게 증가했으며 돼지고기 시장 가격이 크게 하락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돼지 사육두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1월과 2월 전국적으로 번식모돈의 수는 전월대비 각각 1.1 %, 1.0 %, 전년동월대비 각각 35.0%, 34.1% 증가했고, 2월 말 전국 모돈의 재고량은 2017년 말의 95.0%에 해당하고, 살아있는 돼지의 전국 재고량은 4억 마리 이상을 유지했다"고 전했습니다. 중국에서 ASF 발생이 공식 확인된 것은 '18년 8월입니다. 그로부터 1년 후 네덜란드의 글로벌 금융기업 '라보뱅크'는 중국이 ASF로 최소 40% 이상의 돼지를 잃었으며, 이를 복구하는데는 최소 5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보았습니다(관련 기사). 하지만, 이러한 라보뱅크의 예상은 빗나가는 모양새입니다.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양돈산업 복구 지원책 덕분입니다. 올 초 라보뱅크는 "중국이 계속해서 돼지고기의 세계 무역을 지배하고 있지만, 202
[본 자료는 중국 농업농촌부가 각종 유형의 생산경영자들에게 ASF에 대한 정확한 예방·제어 지침 지도를 통해 생물안전(Biosecurity; 차단방역) 수준을 제고하고 바이러스 전파 경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2020년 8월 10일 발표한 'ASF에 대한 일상 예방 및 제어 기술지침'을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이 번역 요약한 것입니다. -돼지와사람]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대한 일상 예방 및 제어 기술 지침 (非洲豬瘟常態化防控技術指南(試行版, 20.8.10) Ⅰ. 사육생산단계 ■ 중소형 돼지사육농가의 아프리카돼지열병 예방 및 제어 기술요점 ■ 대규모 돼지사육장의 아프리카돼지열병 예방 및 제어 기술지침 ■ 사료 생산경영 장소의 아프리카돼지열병 예방 및 제어 기술요점 ■ 돼지산업과 관련된 인력의 동물방역 행위규범 Ⅱ. 조달운송 및 도축단계 ■ 돼지 매입, 운송판매 및 계약운송 행위규범 ■ 돼지 운송차량 세척 및 소독 기술요점 ■ 돼지 도축단계 아프리카돼지열병 예방 및 제어 기술요점 Ⅰ. 사육생산단계 중소형 돼지사육농가의 아프리카돼지열병 예방 및 제어 기술요점 1. 목적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돼지 사육업에 심각한 위해를 가하는 전염병으로 현재로서는 안전하고 유효한 예방용
목마른 사람이 우물을 판다고 하죠. 전 세계적으로 ASF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중국이 백신 개발에 한 발 더 다가섰다는 소식입니다. 지난 18일 중국 농업농촌부는 중국농업과학원 하얼빈 수의과학연구소가 자체 개발한 ASF 백신이 순조롭게 진행돼 확장된 임상 및 생산시험 단계에서 약 1만 마리의 일반 돼지를 대상으로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관련 기사). 중국 농업농촌부는 하얼빈 수의과학연구소 관계자의 말을 인용, 앞서 일반돼지의 비육돈과 모돈에 백신을 각각 접종용량의 10배, 100배 접종하고 20주간 지속적으로 관찰한 바 고열 등 임상 증상과 병리 손상이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비육돈은 접종 후 정상적인 성장을 보였으며, 돼지 간 바이러스 전파가 발견되지 않았고, 암퇘지의 경우 발정이나 임신, 분만에 문제가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태어난 새끼 돼지의 상태도 양호했다는 것입니다. 중국농업과학원 탕화쥔(唐華俊) 원장은 "앞서 시험은 올해 4월에서 6월에 헤이룽장(黑龍江)성 허난(河南)성 신장(新疆성 등 3개 지역에서 농업농촌부의 승인을 받아 모두 3000마리 가까운 일반 돼지를 대상으로 진행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접종을 실시한 돼지들
중국에서 돼지 구제역 발병이 공식 확인되었습니다. 돼지에서 구제역은 간만의 일입니다. 중국 농업농촌부는 지난 11일 중국 남부에 위치한 광둥성 레이저우시의 한 돼지 사육농가에서 구제역이 확진되었다고 13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습니다. 해당 농가의 전체 사육돼지 131마리 가운데 구제역 증상을 보인 개체는 39마리였고, 1마리는 폐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 당국은 아직까지 이번 구제역 바이러스의 구체적인 혈청형은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울러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도 보고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중국에서 구제역은 매년 연례 행사처럼 발생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앞서 올해 1월과 5월 각각 신장위구르자치구와 충칭시에서 구제역이 발생했다고 OIE에 보고한 바 있습니다(관련 기사). 지난해 8월에도 역시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 구제역이 확진된 바 있습니다. 그런데 모두 소에서 바이러스가 확인되었으며, 혈청형은 같은 O형이었습니다.
중국의 돼지 사육두수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병이 1년이 지난 시점에도감소폭은 줄었지만, 계속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년 9월 기준 돼지사육두수 번식모돈 전월 대비 -3.0% -2.8% 전년 동기 대비 -41.1% -38.9% 중국 농업농촌부가이달 중순 밝힌 9월 중국의 돼지사육두수는 전년 동기 대비 41.1% 감소했고, 모돈은 38.9% 줄은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전월과 비교하면 돼지사육두수와 모돈수가 각각 3.0%, 2.8% 감소했습니다(8월 전년 동기 대비 돼지사육두수 -38.7%, 모돈 -37.4%). 전월 대비 감소폭은 전달에 비해 줄었습니다. 이달 16일 기준 중국의 자돈 평균 가격은 kg당 67.57 위안(한화 약 1만1천 원)입니다. 전년 동기 대비 173.7%가 오른 가격이며, 계속 상승 중입니다. 돼지고기 가격은 29일 기준 kg당 48.22 위안(한화 약 8천 원)이며 전년 동기(19.70 위안) 대비 144.8% 상승한 가격입니다. 마찬가지로 계속 오르는중 입니다. 돼지고기를 대신할 수 있는 닭고기, 소고기, 양고기, 계란 가격 역시 소폭 동반 상
중국 농업농촌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병 1년이 되는 8월 기준 돼지사육두수 동향을지난 12일 공식 밝혔습니다. '19년 8월 기준 돼지사육두수 번식모돈 전월 대비 -9.8% -9.1% 전년 동기 대비 -38.7% -37.4% 중국 당국이 밝힌 8월 중국의 돼지사육두수는 전년 동기 대비 38.7% 감소했고, 모돈은 37.4% 줄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월과 비교해도 크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7월에 비해 돼지사육두수와 모돈수가 각각 9.8%, 9.1% 감소했습니다(7월 전년 동기 대비 돼지사육두수 -32.2%, 모돈 -31.9%). 중국은ASF의 발병에 따른피해 규모를지난해 8월 첫 발병부터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상세히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8월 3건에 이어 9월 10일 닝샤후이자치구에서의 보고가 가장 최근 ASF 공식 발병 보고 입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이 샘플 조사를 통해 매달 밝히는 돼지사육두수 동향은 ASF 피해 정도를추정해 볼 수 있는 가장 객관적인 자료 입니다. 8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사육두수와 모돈수 모두 대략적으로 약 40% 정도로 일전에 네덜란드 라보
중국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피해가 누적되면서 최근 돼지와 돼지고기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가운데 일선농가에서 'ASF 백신'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이 백신은 중국 정부로부터 정식 사용허가를 받은 백신이 아니라, 시험용이거나, 자체 제조(자가백신?), 밀수된 백신으로 알려졌습니다. ▶불법 ASF 백신 사용을 전하는 중국 방송@CCTV 중국 농업농촌부는 지난 2일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최근 ASF 백신이 일부 농가에서 암암리에 사용된다는첩보가 있다"며, "이들 백신은 모두 심각한 불법이고 현재 강력 단속에 나서고 있으며, 농가들은 속지 않도록 조심하라"고 당부했습니다. 농업농촌부는 "해당 백신은 안전성과 유효성을 보장할 수 없고, 특히, 생백신의 경우예상치 못한 위험이 있을 수 있다"며, "백신 접종을 통해 외려 ASF 감염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질병을 확산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한, "외국으로부터 ASF 유전형 I형 백신을 들여와 접종할 경우 중국에서 유행하고 있는유전형 II형 바이러스와결합해 현재의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의 승인 없이는 어떠한 기관이나 개인도 백신
중국 정부가 7월 기준 돼지사육두수 동향을지난 15일 공식 발표했습니다.중국 당국은 전국 400여 지역의 돼지사육현황을 바탕으로 매달 사육동향을 추정·발표하고 있습니다. 돼지사육두수 번식모돈 전년 동기 대비 -32.2% -31.9% 전월 대비 -9.4% -8.9% 중국 당국이 밝힌 7월 중국의 돼지사육두수는 전년 동기 대비 32.2% 감소했고, 모돈은 31.9% 줄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월과 비교해도 크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6월에 비해 돼지사육두수와 모돈수가 각각 9.4%, 8.9% 감소했습니다(전체사육두수 -25.8%, 모돈 -26.7%). 중국의 이와 같은 급격한 사육두수 감소는 익히 알려진 바 대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확산 피해 때문입니다. 중국당국의 ASF 발병 보고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일부만 제한적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이전 중국의 돼지사육두수는 약 4억5천6백만 두( 2016년 기준, 통계청) 입니다. 한편 중국 당국은 8월 첫 주 기준 중국의 평균 생돈 가격은 kg당 19.21위안(한화 3,295원)으로 전년 대비 45.0%가 증가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