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원·달러 환율이 1450원선을 돌파했습니다. 이는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던 2009년 3월 이후 15년 7개월 만의 일입니다. 간밤 미국 연준이 정책금리를 추가로 내리면서(금리 상단 4.75 → 4.50%) 달러 가치가 큰 폭으로 상승한 결과입니다. 가뜩이나 12.3 비상계엄 사태 후폭풍을 겪고 있는 우리 경제 입장에서는 다른 나라보다 더 큰 충격으로 다가왔습니다. 이에 우리 금융당국은 19일 오전 긴급 회의를 갖고 "시장안정조치를 과감하고 신속하게 시행하겠다"라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원·달러 환율이 1500원선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점차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를 지켜보는 한돈산업의 시름 역시 깊어지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확실히 대한민국은 '내우외환(內憂外患)' 상황입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돼지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이 26일(월) 전주(5479원) 대비 766원 올라 6245원을 기록했습니다. 6천원대 가격은 지난달 10일(6012원) 이후 47일만입니다. 여름 휴가철 수요가 거의 끝났지만, 학교 급식 확대와 함께 추석 명절 수요가 시작되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는 26일자 주간시황에서 "(국내산) 구이류는 휴가 종료와 무더위 지속으로 마트나 외식으로부터의 수요가 저조하지만, 정육점은 가수요가 생겨나며 개선되었다. 생산감소 및 지육가격 급등 영향으로 덤핑은 없는 상황이다. 정육류에서 전지는 급식납품이 재개되었고 명절수요에도 대비 중으로 있어 강보합세이며 등심은 보합세이고 후지도 명절수요로 인해 강보합세를 보였다"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이번주 돼지 도매가격은 4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관련 기사). 문제는 언제 다시 꺾일지가 관건입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이번주 들어 돼지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이 11주 만에 하락으로 돌아서는 양상입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월요일(24일) 도매가격은 6304원을 기록해 1주 전 가격(17일 6223원)보다 81월 높게 출발했습니다. 11주 연속 주간 가격이 상승하는 듯했습니다. 하지만, 이어 화요일(25일)과 수요일(26일)에는 각각 6209원, 6060원으로 전주보다 가격(-167원, -343원)이 떨어졌습니다. 지난 10주간은 좀체 볼 수 없었던 모습입니다. 이에 따라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의 평균 가격은 6192원입니다. 이번주 남은 이틀 큰 변수만 없다면 전주 평균 가격(6301원)을 넘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10주 연속 주간 가격 상승세을 마치고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서 말했듯이 돼지 주간 평균 도매가격은 지난 4월 중순(4.14일 주) 이후 10주간 꾸준히 상승했습니다. 최근 2주간은 전주 대비 각각 8.1%, 6.0% 가격이 상승해 급등 양상을 보였습니다(관련 기사). 지난해 가격을 단박에 넘어섰습니다. 이를 두고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이하 육류협회)는 '이상현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시장은 특별한 수요가 없는데 가격이 급하
이번주까지 돈가(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가 10주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지난주부터 급등 수준으로 결국 지난해 같은 기간 가격을 크게 추월했습니다. 결국은 꺾일텐데 언제까지 상승세가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주(6.9-15) 돼지 도매가격은 월요일인 10일부터 5792원으로 힘차게 출발했습니다. 11일 5980원에 이어 12일(6020원)과 13일(6072원)은 올해 처음으로 6천원대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통상 가격이 하락하는 금요일인 14일조차 5833원으로 1주 전보다 419원이나 높은 가격으로 마감했습니다. 결국 주간 돼지 평균 도매가격은 5945원으로 전주(6.2-8)보다 무려 446원이나 올랐습니다(8.1%). 또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40원이나 높았습니다(6.6%). '가격 급등'입니다. 이 같은 가격 급등 원인을 두고 출하두수 감소나 돼지고기 수요 증가로 해석하는 의견이 나옵니다(관련 기사). 하지만, 한국육류유통협회(이하 육류협회)는 이를 단순히 '이상 현상'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소비 부진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무언가 알 수 없는 이유로 가격이 크게 상승했다는 것입니다. 지난주 출하두수의 경우 35만8천 두
지난 4월까지 올해 돼지고기 수입량은 17만8302톤으로 전년동기대비 26.7%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는 소식을 전달드렸습니다(관련 기사). 전년대비 2.7% 감소한 39만2천톤이 될 것이라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올해 돼지고기 수입량 전망은 현재로선 틀릴 것이 거의 100% 확실해 보입니다(관련 기사). 17만8302톤은 연구원 전망치 39만2천톤의 45.5%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고환율·고유가·고금리에 돼지고기 수요, 특히 외식 소비가 부진하고 여기에 더해 글로벌 돼지고기 가격이 상승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돼지고기 수입량의 예상 외의 증가세는 쉽게 납득이 가지 않습니다. 무엇 때문일까요? 이에 대해 돼지와사람이 수입업계에 정통한 복수 관계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심층적으로 알아보았습니다. 이들과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해보면 이유는 크게 3가지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소고기 수입량 감소 ▶여름철 한돈가격 급등 전망 ▶할당관세 시행 기대 등입니다. 먼저 올해 4월까지 돼지고기 수입량은 크게 증가(+26.7%)한 양상이지만, 소고기의 경우는 반대(-7.6%)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 소고기 수입량의 절반 이상('23년 기준)을 차지하고
다음주 드디어 5월입니다. 5월은 6월과 함께 올 초부터 가격 급등이 전망되고 있는 달입니다. 지난해 말부터 PRRS(리니지1), PED(G2b) 발병 피해가 공식적으로 알려진 것보다 훨씬 심각하다는 소문이 돌았기 때문입니다. 일찌감치 일부 산업관계자는 이 기간 일시적이나마 6~7천원대, 최대 8천원대까지 도매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는 이를 근거로 지난 1월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에 '민관 공동 돼지 수매사업(1분기) 추진'을 요구한 바 있습니다(관련 기사). 물론 농식품부는 응하지 않았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다가올 5월 돼지 도매가격이 초미의 관심사입니다. 4월 현재 가격(4877원, 4.25일 누적)을 볼 때 냉정하게 5천원 중반대로 형성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지만, 여전히 6천원대 이상을 상회할 것이라는 예상과 기대도 존재합니다. 먼저 5월과 6월 출하두수의 경우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이라는 예상은 맞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한돈미래연구소에 따르면 한돈팜스에 보고된 사육두수를 기반으로 추정한 5월과 6월 예상 출하두수는 각각 151만5천 마리, 142만6천 마리입니다. 이는 지난해보다 각각 -2.8%,
19일 돼지 평균 도매가격이 5,503원/kg(제주 및 등외 제외)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난달 25일(2468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최근 돼지 도매가격은 하락 추세입니다. 지난 11일 6467원을 정점으로 도매시장 경매일 기준 6일 연속 가격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11일과 19일 가격을 비교하면 14.9% 감소했습니다. 이유야 어찌되었든 '가격 급락'입니다. 그런데 이를 전하는 일반 언론은 없습니다. 지난주 이들은 돼지 도매가격이 19.1% 급등했다고 일제히 보도했습니다. 이에 정부는 어이없게도 무관세 돼지고기 수입을 검토 중이라고 화답했습니다(관련 기사). 급등은 뉴스가 되고 급락은 뉴스가 안되는.....그저 씁쓸할 뿐입니다. 이근선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