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경북과 불과 수 km 떨어진 지점에서 ASF 양성멧돼지가 확인되었습니다. 이제 지금 당장 충북 혹은 경북에서 ASF 양성멧돼지가 나오더라도 전혀 이상하지 않는 상황까지 온 것입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외룡리 도로 옆에서 4개월령 수컷 멧돼지 한 마리가 수렵인에 의해 총기 포획되었습니다. 그리고 4일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의 검사 결과 ASF 감염 개체로 확인되어 영월에서의 15번째 양성개체(#1677)로 기록되었습니다. 이번 영월 양성멧돼지의 포획지점은 기존 발견지점과는 상당한 거리입니다. 영월 발견지점과는 35km, 정선 발견지점과는 27km 가량 각각 남쪽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입니다. 반대로 충북(단양)과 경북(봉화)과는 더욱 가까워진 위치입니다. 대략 충북과는 5.2km, 경북과는 7.5km 거리입니다. 또한, 소백산 국립공원과는 7.4km 거리입니다. 모두 환경부가 밝힌 공식 멧돼지 일일 이동능력 2~15km 범위 내입니다. 여기에 더해 최근 양성멧돼지의 남하 속도를 감안한다면 충북과 경북, 소백산 등으로의 확산은 조만간 일어날, 피할 수 없는 예정된 수순이라는 결론에 도달합니다. 관련해 강원대학교 박선일
대한한돈협회(회장 하태식, 이하 한돈협회)가 30일 성명서를 통해 ASF 야생멧돼지 정책 관련 환경부의 무능함을 규탄하고, 경기·강원남부 권역의 야생멧돼지를 즉각 제로화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한돈협회는 "불과 1년 만에 감염 멧돼지가 전국 확산의 기로에 서 있다"며, "이번 가평 멧돼지 ASF 확산은 환경부의 정책 실패가 명백한 원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환경부에게 "하루속히 야생멧돼지의 남하 저지를 위한 유례없이 강력한 대책을 시행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를 위해 한돈협회는 먼저 "강원 5개 시군(횡성, 평창, 강릉, 홍천, 양양)에 국한된 광역수렵장 운영 계획을 경기남부 4개 시·군(남양주, 양평, 광주, 여주)과 강원남부 6개 시·군(횡성, 평창, 강릉, 홍천, 양양, 원주)을 잇는 광역수렵장으로 확대 운영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했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광역수렵장으로 수렵인을 총동원하기 위해 광역수렵장 외 타 지역의 모든 수렵 활동을 즉각 중단할 것"을 주장했습니다. 끝으로 한돈협회는 "야생멧돼지에서의 ASF 확산은 우리나라 가축방역사에 유례가 없는 국가적 재난"이라고 규정하고, "(환경부가) 이 같은 요구를 무시한 채 지금과 같은
강원도가 ASF 야생멧돼지의 추가 남하를 차단하기 위해 발생지역 이남 5개 시·군 통합, '강원도 광역수렵장'을 운영합니다. 광역자치단체 주관 수렵장 운영은 전국 최초이며 이 지역에서의 멧돼지 숫자를 제로로 만든다는 목표입니다. 강원도에서의 ASF 야생멧돼지 상황은 지난해 10월 철원에서 첫 발견 후 화천, 양구, 인제, 고성, 춘천 등 동진·남하 방향으로 점차 확산 추세에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달 초 관내 양돈농장 두 곳에서 결국 첫 ASF가 발생하였습니다. ASF 야생멧돼지는 현재(28일 기준)까지 누적 776건이 확인된 가운데 경기도(405건)가 강원도(371건)보다 더 많습니다. 하지만, 조만간 상황이 역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근 5개월간(6.1~10.28)의 ASF 야생멧돼지는 강원도가 95건으로 경기도 50건보다 거의 두 배나 많습니다. 이에 강원도는 도내 발생지역 이남의 야생멧돼지 진공화 계획 일환으로 전국에서 처음으로 광역자치단체 주관으로 강원 중부지역 5개 시·군을 대상으로 '광역수렵장'을 운영합니다. 지난 26일 환경부의 수렵장 설정 승인을 받았습니다. 운영시기는 야생멧돼지 활동이 가장 왕성한 ′20.12.14일부터 ′21.3.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