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RS바이러스(PRRSV)'는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고비용 돼지 아테리바이러스(arterivirus)로, 유전적 및 항원적 변이가 광범위하여 새로운 병원성 균주의 출현이 빈번하여 PRRSV 방제를 어렵게 한다. 최근 NADC30 유사(1C, L1C 계통) 및 NADC34 유사(1A, L1A 계통) PRRSV 균주가 한국 본토에서 널리 확산되며, 전국적인 PRRSV 발생의 주요 유행 균주로 자리 잡았다. 이는 한국 양돈산업에 큰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NADC30 및 NADC34 유사 바이러스의 유전형 및 병원형 변이는 미국과 중국에서 연구되었지만, 유전체 및 생물학적 특성은 한국에서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자돈 폐사율을 보이는 백신 접종 돈군에서 NADC34 유사 GNU-2353 및 NADC30 유사 GNU-2377 균주를 독립적으로 분리하였다. 전장 유전체 시퀀싱 및 계통학적 분석 결과, GNU-2353과 GNU-2377은 각각 L1A(NADC34 유사) 및 L1C(NADC30 유사)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당 계통을 대표하는 균주와 높은 유전체 상동성을 공유하고, nsp2 코딩 영역에서 각각 100개 아미노산 연속 결실 및
돈두(豚痘, swinepox, SWP)는 돼지에서만 발생하는 급성의 바이러스성 피부 질병으로 남북미,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적인 발생 분포를 보인다. 원인체인 돈두바이러스(swinepox virus, SWPV)는 Poxviridae, Suipoxvirus속이며, 외피(envelope)로 둘러싸여 있고 이중 가닥의 DNA를 가진 벽돌 모양(brick-shaped)의 대형 바이러스이다. 3-4개월령의 어린 자돈에서는 이환율이 100%에 이르기도 하고 심한 증상을 나타내는 반면, 성돈에서는 경미한 병변을 유발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가 치유되는 경향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SWPV의 전파는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질이 손상된 피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발생한다. 또한 SWPV는 '돼지 이(Haematopinus suis)'에 의한 기계적 전파가 가능하며, 드물게 선천적 감염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는 국내 양돈 농장에서 발생한 신생 자돈의 SWP 발병 예이다. 2018년 5월, 전남 나주시 소재 모돈 400두 규모의 자돈생산농장(farrow-tonursery farm)에 사육 중인 3산차 모돈으로부터 태어난 13두의 신생 자돈 중 4두에서 비정
본 원고는 지난 4월 27일 한국양돈수의사회 주최 '2017 수의양돈포럼'에서 발표되었습니다. ♦ 개요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간하는 2016년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를 보면 1970년대 이후부터 국내 돼지 사육두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4년에는 1,000만 두를 초과하였으며, 최근 육류 섭취량의 증가 추세와 더불어 양돈은 대한민국 농업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중 하나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적 발전은 국내 소비자의 기호에 부합하고 매년 증가하는 수입 축산물에 대하여 경쟁력을 갖춘 뛰어난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을 가진 식육 생산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생산된 식육에 대한 최종 소비자의 목소리는 무엇보다 양돈 산업 발전에 있어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런 소비자 계층에서 제기되는 식육 관련 문제점들은 생산자 뿐 아니라 양돈전문 수의사들도 귀를 기울여야 하며 문제에 대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진단 기관에 종사하면서 접한 사례들 중에서 가공 후 판매된 식육에 대한 이물 검사 사례가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의뢰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실험실적 분석 결과를 공유함으로써 향후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