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폭염의 시작 짧은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폭염이 시작되면서, 여름철 돼지 생산성 저하가 현실화되고 있다. 돼지는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특히 무더운 날씨에는 사료 섭취가 눈에 띄게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이는 돼지가 두꺼운 피하지방층을 가지고 있으며 땀샘의 발달이 미흡해 체온 조절이 어렵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한돈팜스 전산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6월부터 가을이 시작되는 10월 전까지 사료섭취량의 감소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고온 스트레스는 단순히 사료 섭취량을 감소시키는 데 그치지 않는다. Pearce 등(2015)의 연구에 따르면, 고온 환경에서 사육된 비육돈의 혈액 내 체단백 분해 대사물질인 Nτ-methylhistidine(Nτ-메틸히스티딘)과 creatinine(크레아티닌)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온 스트레스가 체단백 분해를 동반하는 대사 장애까지 유발하여 성장정체 및 사료요구율 감소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혹서기 성장정체, 극복을 위한 솔루션 혹서기 대사적 변화는 단순한 사료 섭취량 증가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려우며, 고온 환경에서도 체내 단백질 축적을
지속 가능한 축산에 대하여 경제동물은 인간 생활에 도움을 주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동물로 소, 닭, 돼지 등이 이에 속한다. 경제적 가치는 경제활동의 최종 결과물로서 투입되는 비용에 대해 얻을 수 있는 효과의 정량적, 정성적 표현으로 정의된다. 농장에 투입되는 비용은 변동비와 고정비로 나누어진다. 이 중 변동비는 생산량의 변동 여부에 따라 변화하는 비용으로 사료비, 약품비, 분뇨처리비, 수도광열비, 인건비 등이 있다. 반대로 고정비는 생산량의 변동 여부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지출되는 비용으로 변동비 외 나머지 비용을 고정비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생산원가를 분석할 수 있고 비육돈의 판매 수익을 통해 농장의 손익분기점을 산출할 수 있다. 양돈장은 비영리단체가 아니다. 이 때문에 지속 가능한 축산을 위해서는 계속적인 수익이 필요하다. 통계청에서 제시하는 비육돈 생산비의 구성을 보면 절반 이상을 사료비가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료비의 조절을 통해 농장의 생산비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사료비를 절감하는 다양한 솔루션 단순히 저가사료를 사용하는 것이 농장의 사료비를 줄이는 방법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료비 절감을 위해 10원 저렴한 사료를 사용했는데 오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