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관 기생충 감염은 양돈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수익성과 생산성 손실을 초래합니다. 본 연구는 국내 사육 돼지의 위장관 기생충 감염 분포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2020년 5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7개 도 75개 농장에서 364마리의 돼지 분변 샘플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총 170마리(46.7%)의 돼지가 ▶Balantioides coli ▶strongyles ▶Ascaris suum(돼지회충) ▶Trichuris suis(돼지편충) ▶coccidia(콕시듐) 중 한 가지 이상의 기생충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기생충별로 각각 144개(39.6%), 24개(6.6%), 14개(3.8%), 4개(1.1%), 1개(0.3%)가 검출되었습니다. 두 개 또는 세 개의 기생충이 동시에 검출된 돼지 샘플은 각각 15건, 1건으로 나타났습니다. 나머지 돼지 샘플(154건)에서는 모두 1개의 기생충만 검출되었습니다. 농장별로는 75개 농장의 돼지 분변 샘플 중 69개 표본(92.0%)에서 1개 이상의 기생충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적으로는 전국 모든 조사 농장에서 30% 이상
▶ 비육돈 (충남 아산) ▶ 육안 소견 돼지 회충 감염의 주 임상증상은 기침, 폐렴 등의 호흡기 증상이며 자돈에서는 설사를 유발한다. 다수의 성충이 소장 내에 기생하고 있을 경우 성충이 담관을 막아 폐쇄성 황달을 유발하기도 한다. 다수의 성충이 소장 내에 기생하고 있을 경우 성충이 담관을 막아 폐쇄성 황달을 유발하기도 한다. 육안 관찰 시 돼지 회충은 주소 소장에서 발견되며, 암컷의 경우 길이가 40cm에 육박한다. 회충 유충이 간으로 이행한 경우 간 문맥부에 유충 이행으로 인한 출혈성 손상 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간 표면에 다양성 크기의 백색 반점이 산재되어 나타나며 절개 시 백색 반점이 매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조직 소견 감염 10~14일 이후에는 간 실질 내 다수의 소산구 침윤이 관찰된다. 자세히 살펴보면 간 소엽사이 결합조직이 증생된 부위에 다수의 호산구가 침윤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충이 간 실질 내에서 파괴된 경우 거대세포, 단핵구, 호산구로 둘러싸인 육아종성 병소가 형성된다. 이 외에도 호산구성, 육아종성 혈관염을 확인할 수 있다. ▶ 발병 기전 돼지 회충(Ascaris suum)은 양돈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기생충 중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