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 농가에서 육성률 향상은 단순한 생산성 개선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이유 전후의 자돈 상태는 돼지의 성장성과 사료 효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는 농가의 경제적 수익성과 직결된다. 특히 초기 단계에서 적절한 사양 관리와 과학적으로 검증된 첨가제를 활용하면 폐사율을 줄이고 자돈의 건강과 활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기고에서는 분만사에서 발생하는 육성률 저하의 주요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적의 첨가제 솔루션을 제시한다. MSY 1두 증가의 의미 2023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규모가 작은 농장은 지속적으로 손실을 보고 있는 반면, 대규모 농장은 규모의 경제 효과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고정비를 분산시키고 효율적인 운영 구조를 구축한 결과이다. 그 중에서도 MSY(Marketed-pigs per Sow per Year)의 중요성은 크다. MSY 1두 증가는 단순히 비육돈 1두의 추가적인 판매가 아닌 전체 비육돈 생산비에 있는 모돈의 고정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한돈협회에서 제시하는 24년 모돈 두당 고정 비용은 270만원 수준으로 이를 200두 규모의 농장 기준으로 계산하면 MSY가 1두 증가할수록 약3,37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 이하 축평원)은 지난 30일 축평원 본원에서 ‘데이터 기반 돼지 생산성 향상 분석모델 서비스’ 본격 개시를 위한 양돈업계 관계자와의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축평원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농장 사양환경을 개선하고 컨설팅에 활용할 수 있는 분석 정보 제공 서비스를 준비 중입니다. 구체적으로 △실시간 출하 성적 분석정보 △농장성적 유형별 분석정보 △모돈과 비육돈의 데이터 연계를 통한 모돈 성적 등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해당 서비스가 시행되면 농장의 출하 성적과 이력 신고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사료업체 등 각 분야 관계자가 참여한 가운데 △농장경영프로그램과의 데이터 연계 △마이데이터 제공 형식의 그룹별 관리 방안 △농장 경영자 활용·확대를 위한 홍보영상 제작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나왔습니다. 축평원은 농장 경영자를 대상으로 지속 홍보하고 업계와 의견을 공유한 뒤, 오는 10월부터 ‘축산물원패스’를 통해 국내 양돈농가 전체를 대상으로 본격 서비스를 개시한다는 계획입니다. 박병홍 원장은 “체계적인 농장경영과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위해 양돈 빅데이터 분석 활용이 필요하다”라며, “각
부경양돈농협(조합장 이재식)이 캐나다 육종회사 '제네서스(Genesus)'와 ‘종돈 공급 및 기술 교류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고 소비자가 원하는, 육질 향상이 극대화된 돼지고기 생산 체계를 완성하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체결식은 지난 26일 김해 JW웨딩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2년 제2회 포크밸리 브랜드농가 전체회의’에서 100여명의 임직원과 조합원이 지켜보는 가운데 진행되었습니다. 부경양돈농협 이재식 조합장과 제네서스 밥 켐프 부사장(Bob Kemp, PhD)가 협약서에 직접 서명했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부경양돈농협과 제네서스는 우수한 품질의 종돈 공급과 더불어 종돈 육종, 사양관리 및 고품질 돈육 생산 등에 관한 기술에 협력키로 했습니다. 특히, 부경양돈농협은 그동안 집중해왔던 생산성적 중심의 굴레에서 벗어나 육질 고급화를 통해 소비자 중심의 돼지고기 생산으로 소비시장을 주도해 나갈 계획입니다. 부경양돈농협은 생산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바뀐 돼지고기 시장에 대한 발빠른 대응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지난 2018년 부계(듀록)부터 육질형 종돈을 도입하였습니다. 여기에 더해 지난해에는 제네서스의 모계라인(LL,YY) 190두를 1차로 국내에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