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축산물의 동물복지에 대한 현실적이고 핵심적인 문제 제기를 담은 다큐멘터리가 KBS 특별기획으로 방영되었습니다(영상 바로보기). 지난 1일 KBS를 통해 방영된 '미래를 위한 선택, 축산혁명'의 두번째 이야기는 '동물복지'를 다루었습니다. 그동안 동물복지 축산물에 대한 방송 내용은 축산농가들에게서 그 문제점의 원인을 찾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KBS에서 제작·방영된 '미래를 위한 선택, 축산혁명' 두번째 이야기, '농장에서 화해하다' 편은 소비자가 구입하지 않고 정부에서 뒷받침되지 않는 환경에서 동물복지 축산물 생산이 가능한가라는 하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국내 소비자들은 35%만이 동물복지 인증을 알고 있었고, 가격이 20%만 높아도 인증 축산물을 구입하지 않겠다는 의견을 보인 소비자가 80%에 달했습니다. 반면, 덴마크 소비자들은 두세배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꼼꼼히 사육환경을 살피고 동물복지인증된 축산물을 구입합니다. 소비자들은 '좋은 사육환경에서 자란 동물복지인증 축산물이 가족의 건강에 좋을 것이다'라고 믿으며 꼭 필요한 지출이라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네덜란드에서는 슈퍼 박테리아 문제를 제기한 농장주를 동물단체들이 나서 돕고 점
본 원고는 지난 5월 18/19일 한국양돈연구회 주최 '제19회 신기술양돈워크숍'에서 발표되었습니다. “나는 돼지농장으로 출근한다”는 금융전문가 출신 농장대표의 책은 도시인의 귀농 귀촌의 방편에서 새로운 투자처로서 변하고 있는 농업의 현실을 우회적으로 보여준 사례입니다. 이미 다단계 유사수신행위로 대표가 법적 판단을 기다리고 있는 또 다른 양돈회사는 양돈산업이 이미 금융산업의 새로운 투자처로 각광받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즉 돈이 몰려든다는 의미입니다. 수익성이 매우 좋다는 것인데, 대체 어찌된 일일까요? 양돈산업은 이제 새로운 “황금광 시대”가 되고 있는건가요? 개인적인 관점에서 양돈산업은 2010년을 전후해서 새로운 산업단계로 변하기 시작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전부터 양돈산업은 새로운 형태의 전환을 시도했습니다. GDP의 성장과 함께 증가하는 국민의 동물성 단백질, 특히 돼지고기의 소비량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함께 양돈산업의 양적 팽창을 가져왔습니다. 이전에 대기업의 양돈진출을 제한하던 축산법 27조가 폐지되기 전까지 양계산업과는 달리 대규모 인티그레이션에 의한 독점적 기업의 진입이 제한적이었습니다. 그리고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