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가가 연일 초강세를 보이며 연중 최고치를 기록 중입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주(8.3-9) 돼지 도매가격(kg당, 제주 및 등외 제외)는 6,631원입니다. 올해 가장 높은 가격을 형성한 전주(6,504원)보다 127원(2.0%) 올랐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475원(28.6%)이나 높은 수준입니다. 전년보다 생산량이 감소(7월 누적 기준 -3.0%)한 가운데 민생회복지원금 영향이라는 지적입니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는 최근 시황분석에서 '국내산 구이류는 민생회복지원금 사용처인 정육점 및 휴가지의 농협마트, 외식수요를 중심으로 소폭 개선되었고, 특히 정육류에서 지원금 효과가 크게 나타나 전지뿐만 아니라 안심, 등심, 후지, 갈비 등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 '25년 8월 한돈산업 전광판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7월 한돈산업은 ASF 재발과 폭염·폭우 등의 악조건 속에서 지난해보다 7만7천두가 적은 141만5천두의 돼지를 시장에 공급했습니다. 돼지고기 수입량도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수입 소고기가 감소한 돼지고기 수입량을 대신했습니다. 정부가 12조 규모의 전 국민 소비쿠폰 지급을 시작하면서 모처럼 소비심리가 크게 살아나는 분위기가 조성되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돼지 도매가격은 6,365원(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으로 역대 7월 중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했습니다. 5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나갔습니다. 예년과 비교해 이례적입니다. 이러한 배경에는 경매두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이 원인 가운데 하나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산업이 시급히 풀어야 할 숙제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7월 소비자심리지수는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나간 가운데 기준값 100보다 10.8포인트나 큰 110.8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4년 1개월 만에 최고치입니다.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정치불안감 해소와 민생회복 지원금 지급 결정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돼지고기 소비자가격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7월 평균 국내산 냉장삼겹살과 수입산 냉동삼겹살의 소비자가
지난 5월 한돈산업은 전월보다 16만1천 마리 더 적은 150만1천 마리를 시장에 공급해 9만443톤의 돼지고기를 생산했습니다. 같은 기간 돼지고기 수입량은 역대 최대량인 5만6천톤이 수입되었습니다. 5월 돼지 평균 도매가격은 5812원을 기록했습니다. 탕박 가격 정산 체계 도입 이후 역대 3번째로 높은 수준입니다. 지난달에도 유통업계는 돼지고기 판매부진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도매시장 상장두수 감소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5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93.8포인트)보다 8.0포인트 증가한 101.8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20년 10월 이후 가장 큰 상승폭입니다. 6개월 만에 기준선 100을 넘어서며 지난 12월 계엄사태 이전으로 완연히 회복하는 모습입니다. 한국은행은 "그동안 소비자 심리 회복을 제약했던 정치 불확실성과 미국 관세정책 등 부정적 요인이 완화되면서 소비자심리지수가 크게 개선됐다"라고 밝혔습니다. 돼지고기 소비자가격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5월 평균 국내산 냉장삼겹살과 수입산 냉동삼겹살의 소비자가격(100g 기준)은 각각 2587원, 1515원입니다. 전달 대비 각각 101원(4.1%), 43원(2.9%)
돈가가 5주 연속 주 평균 5700원대로 전년 동기 대비 강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주(5.18-24) 돼지 평균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은 전주 평균(5766원)보다 22원(0.4%) 오른 5788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4월 말부터 이어온 5700원대 가격을 한 달 넘게 유지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가격은 높지만, 5700원대 박스권에 갇힌 형국입니다. 지난해의 경우 4월 초 4천원대 후반대를 시작으로 매주 상승해 5월 5천원 초반대를 거쳐 6월 6천원대로 넘어선 양상과는 대조적입니다. 다만, 지난주는 전주에 이어 소폭이나마 2주 연속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이번주 5800원대로 넘어설 태세입니다. 26일 5919원으로 올해 최고 일일 도매가격을 기록했습니다. 이달 누적 평균 도매가격은 5765원입니다. 관련해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는 26일자 주간 돼지고기 시황에서 "국내산 구이류는 대형할인점 할인행사의 할인폭이 조금 커졌지만 소비가 크게 늘어나지는 않았으며, 하나로마트, 중소마트, 정육점 등에서의 수요도 전반적으로 저조하였다. 외식소비도 특별한 이슈가 없어 저조한 편이었는데, 다만 6월 첫째주 연휴를 대비한 유통 수요
지난 4월 한돈산업은 3월보다 8만 마리 더 많은 166만 마리의 돼지를 시장에 공급했습니다. 하지만, 누적으로 여전히 작년 공급 수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지난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이어진 돈가 하락세에 모돈 숫자를 줄인 영향입니다(관련 기사). 4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올해 가장 많은, 5만톤에 육박했습니다. 다만, 원-달러 환율 급등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보다는 낮은 상태를 지속했습니다. 결과적으로 국내 생산량 및 해외 수입량 모두 전년 대비 감소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4월 돼지 평균 도매가격은 5651원으로 역대 최고 가격을 경신했습니다. 반면, 유통에서는 높은 도매가격만큼 돼지고기 판매는 잘 되지 않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실제 생산량·수입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올해 재고가 늘고 있습니다. 이에 최근 12개월 연속 감소 추세(전년 동월 대비)인 도매가격 상장두수(제주 및 등외 제외)에 대한 우려와 불만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산업이 해결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사안입니다. 소비자심리지수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4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보다 0.4포인트 증가한 93.8로 나타났습니다. 12월 계엄사태 이후 5개월 연속 기준선 10
돈가 상승세는 소폭이나마 이번주에도 이어지는 분위기입니다. 어느덧 4주째입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주(4.13-19) 돼지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은 전주 평균(5584원)보다 110원(2.0%) 오른 5694원입니다. 3주 연속 상승입니다(관련 기사). 이 같은 도매가격 상승은 주당 도축두수가 5주 연속 하락한 가운데 나왔습니다. 지난주의 경우 37만두대가 무너진 확실한 36만두대였습니다(36만5천). 한 달 전만 하더라도 38만두 중반대였으니 그 사이 2만두(-5%) 정도가 감소한 것입니다. 도축두수 감소는 상장두수 감소로 이어졌습니다(관련 기사). 경매비율 2% 붕괴가 임박한 수준입니다. 상장두수가 감소하니 경락가격(도매가격)이 오르는 것은 당연합니다. 이번주에도 도매가격 상승세는 계속 이어지는 모양새입니다. ▶21일(월) 5695원 ▶22일(화) 5793원을 형성해 이틀간 평균 5742원을 기록 중입니다. 이는 지난주 평균(5694원)보다 48원 오른 가격입니다. 월요일 잠시 가격이 조정 국면에 들어가는 듯했으나 화요일 사실상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일일 도매가격을 또 경신한 결과입니다. 한편 최근 도매가격 강세·상승세와 무관하게 유통
돼지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이 이번주에도 상승하는 분위기입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14일(월)과 15일(화) 도매가격은 각각 5703원, 5773원을 나타냈습니다. 이틀간 평균이지만 5738원으로 전주(5584원)보다 2.8% 올라 3주 연속 상승을 이어갔습니다. 올해 들어 가장 높은 가격을 경신했습니다. 최근 주간 출하두수뿐만 아니라 경매두수가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관련 기사). 유통업계는 돼지고기 수요 자체가 증가한 것은 아니라는 지적입니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는 지난 14일 주간시황보고에서 '국내산의 경우 일부 부위를 제외하고 덤핑출현과 냉동생산증가가 지속되고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 '25년 4월 한돈산업 전광판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지난달 중후반 2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던 돈가가 최근 2주 연속 상승 중입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주(3.30-4.5) 돼지 평균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은 전주 평균(5321원)보다 81원(1.5%) 오른 5402원입니다. 3주 만에 상승으로 전환하였습니다. 이 같은 상승은 주당 도축두수가 3주 연속 하락한 가운데 급기야 38만두대에서 37만두대로 떨어지면서 나왔습니다. 다시 국내산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해졌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곳곳에서 '돼지가 없다'라는 얘기가 들립니다. 여기에 고환율에 따른 돼지고기·소고기 수입량이 전년 대비 감소세를 지속한 것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풀이됩니다(관련 기사). 실제 3월 등급판정두수는 2월보다 11만6천두가 적은 157만7천두입니다. 이는 한돈미래연구소가 한돈팜스 자료로 예측한 166만8천두와는 9만두 정도의 큰 격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1월부터 3월까지 등급판정두수는 484만2천두입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만3천두(-3.3%) 감소했습니다. 한 양돈조합 관계자는 "최근 사료 나가는 것을 보면 원인은 모르겠지만, 물량이 예년보다 확 줄었다"라며, "이는 전국적인 현상으로 생각된다"라
지난 3월은 개학(3.2)과 삼겹살데이(3.3)로 시작해 구제역(3.13-23), ASF(3.16), 초대형 산불(3.22-30) 등의 사건 사고가 이어진 달이었습니다. 미국발 관세전쟁과 국내 정국불안, 얼어붙은 소비심리 속에 달러 환율은 한때 1470원대를 넘어 1500원대까지 갈 수도 있다는 경고음이 울렸습니다. 물가 상승률은 2%대를 또 기록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돼지 출하두수는 당초 예상과 달리 160만두를 넘지 않았습니다. 돼지고기 수입량은 5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했습니다. 돼지 생산량과 수입량 모두 줄면서 3월 돈가(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는 반등과 함께 처음으로 5천원대를 기록했습니다(5345원). 이에 대해 유통업계에서는 다른 목소리가 확인됩니다. 이들은 시장은 여전히 어려운데 돈가는 거꾸로 가고 있다는 불만을 제기했습니다. 도매시장 상장두수 감소로 돈가가 급등한 측면이 있다는 의견입니다. 소비자심리지수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3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보다 1.8포인트 낮은 93.4로 집계되었습니다. 2개월 연속 상승을 멈추고 하락했습니다. 12월 계엄사태로 인한 폭락 이래 4개월 동안 기준선인 100 이하에 머물러 소비자가 체감하는 경기상
한때 5600원대 초강세를 보이던 돈가가 2주 연속 떨어지고 있습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주(3.16-22) 돼지 평균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은 전주 평균(5500원)보다 98원(-1.8%) 떨어진 5402원으로 나타났습니다. 3주 연속 뚜렷한 상승세의 마감이며, 사실상 지난 설 연휴(1.27-30) 이후 첫 도매가격 하락입니다. 이 같은 하락은 최근 주 평균 도축두수가 40만두대 아래로 떨어진 가운데 나왔습니다. 그만큼 수요가 한계가 다다랐다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하락세는 이번주에도 이어지는 모양새입니다. ▶24일(월) 5312원 ▶25일(화) 5382원을 형성해 이틀간 평균 5343원으로 전주 평균보다 소폭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다만, 여전히 이달(25일 누적) 평균 도매가격은 5,355원으로 3월 역대급 도매가격을 기록 중입니다. 관련해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는 24일자 주간시황보고에서 "국내산 구이류는 일부 대형할인점에서 할인행사 진행이 있었고 4월 할인행사 대비 일부 납품이 시작되었지만 최종 소비가 아직 크지 않았고, 정육점과 외식으로부터의 수요는 더욱 부진해지며 덤핑이 다시 심화되어 냉동할 수 있는 가격이 아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