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정비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정부기관이 축사단지 조성과 관련해 최근 토론회를 벌여 주목됩니다. 한국농어촌공사(사장 이병호)는 지난 18일 전남 나주시 농어촌공사에서 ‘스마트축사, 농촌다움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성공적인 스마트 축사단지 조성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토론회는 우리나라 축산업의 발전과 농촌 환경과의 공생을 위한 정책을 공유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정부 관계자, 관련 전문가, 축산업계 종사자 등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박태선 한국농어촌공사 기반사업이사가 좌장을 맡아 진행되었습니다. 토론회에 앞서 ▶성공적인 축사단지 조성 방안(윤성은 기반사업부장) ▶간척지를 활용한 친환경 경축순환단지 도입 방안(이승헌 환경관리처장) ▶농촌공간정비사업의 축사 연계 방안(백금철 지역개발지원단 차장) 등이 발표되었습니다. 이어 종합토론에서 이형구 팀장(충남도청), 이인복 교수(서울대학교), 서일환 교수(전북대학교), 박계영 대표(팜큐브) 등이 토론자로 나섰습니다. 이들은 축사의 현안을 해결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혁신적인 인프라 조성 및 환경오염 저감방안을 논의하고, 산재된 소규모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한국농어촌공사, 국립농업과학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건축공간연구원 등 4곳을 농촌공간중앙지원기관으로 지정했습니다. 농촌공간중앙지원기관은 올해 3월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것입니다. 앞으로 각 시·군이 농촌소멸 위기와 난개발에 대응하고 삶터·일터·쉼터로서의 기능을 재생하기 위한 농촌공간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시책 발굴, 계획수립 지원, 조사·연구 등 종합적인 지원 기능을 수행합니다(관련 기사). 농식품부는 지난 4월부터 공모 및 심사를 진행하여 총괄기관으로 한국농어촌공사, 특화기관으로 국립농업과학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건축공간연구원을 지정하였으며, 이들 4개 기관은 올해 5월 13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농촌공간중앙지원기관 업무를 맡게 됩니다. 농식품부 김종구 농촌정책국장은 “앞으로 지원기관 협의체를 구성하여 기관별 역할·과제 구체화 등 운영체계를 강화하고 업무 추진상황을 상시 공유하는 한편, 올해 연말에는 합동 성과보고회 등도 계획하고 있다”라며, “농촌을 살기 좋고 일하기 좋은 곳으로 그려나가기 위한 계획이 잘 수립될 수 있도록 중앙지원기관과 함께 필요한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