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9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ASF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가 처음으로 공식 확인되었습니다. 정부 공식 문서가 아닌 논문 형태이지만,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축산차량 농장 진입 통제 및 강화된 방역시설 정책 등의 배경을 엿볼 수 있습니다. 해당 논문(바로가기)은 최근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저널에 '2019년 한국의 ASF 전파 역학(Transmission Dynamics of African Swine Fever Virus, South Korea, 2019)'이라는 제목으로 실렸습니다. 저자는 농림축산검역본부와 3개 대학 공동 연구팀입니다. 연구팀은 '19년 14곳(파주5, 연천2, 김포2, 강화5)의 발생농장에 ASF 바이러스(이하 ASFV)가 전파되는데 있어 이동차량 및 멧돼지의 역할을 평가했습니다. 이를 위해 농장과 멧돼지의 ASF 발생 사례와 전국적인 차량 GPS 자료(연구기간 8.28-10.16)를 결합하여 분석하였습니다. 연구기간 동안 모두 208대의 차량이 발생농장을 방문한 후 12,671곳의 농장(발생농장 포함)을 방문하였습니다. 156대의 차량은 발생농장 방문 후 3일 이내에 2,824곳의 농장을 거쳐갔습니다.
지난해 돼지 사육두수가 줄고 폐업 농가가 늘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정부의 과도한 방역규제로 올해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ASF 중앙사고수습본부(이하 중수본)는 지난 14일 ASF 발생지역 확산에 따른 특별 방역 대책을 발표하면서 접경지역 농가들에 적용했던 방역 정책을 그대로 적용할 것을 예고했습니다(관련 기사). 이런 가운데 최근(1.14 기준)까지 ASF 희생농가 가운데 강화된 방역 시설 설치 등 합동 평가를 완료한 농가는 29호이며, 실제 재입식을 한 농가는 21농가 8,061두에 머물고 있습니다. 전체 261개 피해 농가 중 54개 농가는 사실상 폐업했고, 남은 207개 농가 가운데 재입식을 위한 평가를 완료한 농가가 고작 29호에 그친다는 것을 생각하면, 8대 방역 시설과 권역화를 전국에 확대·적용할 경우 앞으로 한돈산업의 구조조정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8대 방역시설과 관련하여 접경지의 한 양돈농가는 "검사관들에게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8대 방역 시설을 갖춘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추가로 '방역 라인'을 만들어야 한다. 먼저 차량이 내부 울타리 안으로 들어오면 안되고, 차량과 돼지 그리고 사람의 이동 동선을 구분해서 방역 라인을 만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