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 등의 중금속은 인체 내에서의 반감기가 14년 내지 30년이므로 체외 배설이 아주 느린 반면, 중금속 섭취를 줄일 수 있는 생활환경 관련 기술의 개발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돼지고기 섭취 시 우리 체내에 축적되는 납의 중독을 완화시킬 수 있는가를 살피고자 함이다. 흰쥐에 7주 동안 납의 임상적인 중독현상을 유발시키고 이어서 7주 동안 납을 중단하고 해독과정을 유발시키면서 돼지고기 투여에 의한 납 해독 효과를 비교하는 시험을 실시하였다. 납 중독에 의해 체중저하,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 저하, 상대적 간과 신장의 무게 증가, 대퇴골, 신장, 간에서의 납 축적 등을 확인하였다. 해독 시에 돼지고기를 섭취시킨 경우 유의적으로 식이 효율이 높아졌다. 또한 돼지고기 섭취가 상대적 간과 신장의 상대적 무게에 영향을 주는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p<0.05). 간에서의 납 축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납 중독 여부(p<0.0005), 돼지고기 섭취(p<0.0005), 납과 돼지고기 섭취의 상호작용(p<0.0005)이 모두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에 있는 DALAD함량은 대조구에 비해서 돼지고기 첨가구에서 납 첨가 수준에
전남 진도의 한 양돈장에서 분뇨처리시설 질식사고로 젊은 양돈인이 숨지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습니다. 전남소방본부에 따르면 해당 농장은 진도군 임화면에 위치해 있으며, 지난 20일 오전 9시 58분경 긴급 구호 신고가 접수되었습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 구급대원은 농장주(41세)와 직원 두 명 등 3명을 구조 및 응급처치 후 긴급 병원 이송을 실시했습니다. 하지만, 농장주는 끝내 다시 일어나지 못했습니다. 직원 두 명은 다행히 회복 중입니다. 이들은 이날 아침 분뇨처리시설 배관이 고장 나 보수작업에 나섰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찰은 작업 중 유독가스에 노출되어 사고가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입니다. 이번 질식사고는 지난해 9월 청양 양돈장 사고 이후 4개월 만에 일어난 일입니다. 청양 사고에서도 당시 분뇨처리장 배관 막힘 보수 작업 과정 중이었으며, 직원 2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관련 기사). 한편 지난해 고용노동부는 지난 10년간 밀폐공간 질식사고 분석 결과 오폐수 처리, 정화조, 축산분뇨 처리(황화수소 중독, 산소결핍) 작업 등이 가장 위험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이들 작업을 위해서는 반드시 작업 전 산소농도, 황화
유독가스 질식사고로 양돈장을 함께 운영하던 60대와 20대 부자(父子)가 모두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포천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7일 12시40분경 포천시 이동면 소재 한 양돈장에서 농장주와 그의 아들이 분뇨저장조 내에서 쓰러진 채 발견되어 출동한 119 구급대에 의해 심폐소생술을 받고 병원으로 이송되었지만, 안타깝게도 모두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사고 신고는 농장주의 동생이 발견해 이루어졌으며, 이들 부자는 냄새 민원을 줄여보고자 이물질 제거 작업을 하러 1.8m 높이의 분뇨저장소에 들어갔고, 황화수소에 중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저장조 내에는 다량의 황화수소가 검출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황화수소는 수소와 황이 결합한 악취(썩은 달걀 냄새)를 가진 무색의 유독 기체로 신경독성 작용을 나타냅니다. 고농도의 경우 1~2회의 호흡만으로 의식을 잃고 사망할 수 있습니다. 한편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이번 양돈장 질식사망사고에 앞서 가장 최근 발생한 유사 사고는 지난 '18년 4월 양돈장 집수조 내부작업 중 1명이 사망한 사례가 있습니다. 또한, '17년 5월에는 여주와 군위 소재 양돈장에서 연달아 질식사고가 발생해 각각 2명이 유명을 달리했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