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양돈 산업에서 다산성모돈의 도입 비중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다산성모돈의 고향이라 할 수 있는 유럽의 PSY는 30두 이상의 성적을 내고 있으니 다산성모돈을 도입한 국내의 많은 농장들 역시 같은 결과를 기대했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매우 달랐다. 한국의 PSY는 20.9두로 같은 돼지를 갖고 있는 덴마크나 네덜란드 등에 비해 10두 이상 차이가 나고 그 격차는 여전히 좁혀지지 않고 있다. 어떻게 하면 이 격차를 줄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까? 당연한 이야기지만, 기본적으로 모돈의 교배, 임신, 분만 및 포유에 이르는 번식 사이클이 문제없이 돌아가야 한다. 네덜란드 와게닝겐대학교 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인 로버트 호스테 박사는 네덜란드와 한국의 생산성 차이의 이유 중 하나가 비생산일수(NPD, Non-Productive Day)이며, 비생산일수의 증가는 발정, 수정, 임신기간 관리, 임신돈 관리 및 질병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데 이는 농장에서 조금 더 관심을 갖고 노력하면 어렵지 않게 개선될 수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생산성 향상의 출발은 모돈의 교배시점에서 시작해야 한다. 교배 시점에서의 빠르고 강한 발정, 여포 성숙 및 다배란 유도를 통해 산자
'1호 사료'의 주 목적은 모유 및 대용유를 섭취하던 자돈들이 고형사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문제없이 섭취량과 증체율을 올리는데 있지만, '1호 사료'의 비싼 가격과 번거로움 등으로 1호를 건너뛰고 바로 '2호 사료'로 급여하는 농장들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1호 사료'의 중요성이 다시 대두되기 시작했다. 그 이유는 국내 양돈 산업의 상황과 성적을 보면 알 수 있으며, 필자 또한 지금의 자돈들에게 '1호 사료'는 반드시 급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우선 '1호 사료' 급여에 대해서 이야기하기에 앞서 '다산성 모돈(Hyperprolific-sow)'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 양돈 농가는 대부분 다산성 모돈으로 교체되었거나, 교체 중인 상황으로 실제 다산성 모돈이 보급되면서 번식 및 분만 성적은 하루가 다르게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득이 있으면 실이 있는 것처럼 다산성 모돈이 많은 자돈을 갖기 위해서는 넓은 체내 용적과 자궁 용적이 필요하지만, 이는 한계가 있기에 자돈의 체중이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저체중으로 태어난 자돈들은 이유전 폐사율 증가 및 이유 체중의 감소로 이어진다. 실제 Quesnel 등(2008)은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