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돈이 새끼 돼지를 출산하는 과정인 분만은 매우 스트레스가 많은 과정이며, 그 결과는 모돈과 새끼 돼지의 복지뿐만 아니라 농장 경제에도 영향을 미친다. 최적의 생산 결과를 위해서는 비정상적인 분만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눈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해부학적으로 일관된 신체 부위로, 의학적 진단을 돕는 데 자주 사용된다. 이에 분만 모돈을 대상으로 새로운 3단계 안구 점수 시스템을 고안하여 안구 외관의 변화와 분만 동역학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데 사용했다. 분만 모돈의 개별 안구 이미지에 '정상(normal)', '경증(mild)' 또는 '중증(severe)' 중 하나를 지정했다. 각 분만에서 얻은 가장 높은 점수를 사용하여 해당 모돈의 최종 안구 외관 점수를 결정했다. 그 결과 안구 점수가 높은 모돈은 분만 기간이 더 길어질 가능성이 더 높고(p=0.013), 총 분만 시간(p=0.011) 또는 새끼 돼지당 분만 시간(p=0.025)이 늘어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안구 점수와 자돈수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 = 0.043). 안구 점수는 모돈의 산차(p=0.728)와 새끼 간격(inter-piglet i
[이 글은 세바(CEVA)에서 운영하는 ‘Ceva Swine Health Portal’에 실린 글을 번역 및 편집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 필자 주] 양돈산업에 가장 큰 경제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의심할 여지없이 대다수는 '돼지의 질병으로 인한 피해'를 떠올릴 것이다. 이처럼 돼지의 질병은 전 세계 양돈산업의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농장의 수익성을 높이고 유지하기 위해 차단방역을 철저히 하고 질병을 잘 컨트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호흡기 질병은 다른 질병들보다도 양돈산업에서 가장 큰 손실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돼지호흡기복합증후군(PRDC)'에 관여하는 주요 병원체와 이들이 양돈산업의 주요 생산 지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그로 인한 경제적 손실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돼지호흡기복합증후군(PRDC) 필드에서의 돼지 호흡기 문제는 단일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며, 여러 병원체들의 복합 감염과 부적절한 사양 관리 및 환경 조건이 동시에 작용하여 발생한다. 부적절한 사양 관리 및 환경 조건은 호흡기 질병의 발생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돼지에 스트레스를 주는 상황, 여러 일령대의 혼합 사육, 환기 및
서론 PCVAD(PCVD; 돼지써코바이러스연관질병)와 유행성폐렴(SEP)은 양돈장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두 가지의 주요 질병으로 남아 있습니다. 써코바이러스(PCV2)와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hyo, 유행성폐렴균)에 대한 백신 접종은 이러한 감염의 임상 증상과 그에 따른 손실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때 여러 상용 단독 또는 복합 백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표준화된 공격감염 모델에서 실험적으로 M.hyo 감염에 대한 다양한 PCV2 및 M.hyo 백신 접종 프로토콜의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었습니다. 재료 및 방법 생후 3주령 자돈에 ▶써코백®(Circovac, 세바 PCV2 백신)과 하이오젠®(Hyogen, 세바 M.hyo 백신)을 동시에 접종하거나(CH) ▶하이오젠®(H)만 단독 접종(H) ▶PCV2+M.hyo RTM(Ready to Mix; 접종 전 섞어 씀) 백신 ▶두 종류의 PCV2+M.hyo RTU(Ready to Use; 섞을 필요 없이 바로 씀; RTU A, RTU B) 백신 중 하나를 접종했습니다. 그리고 생후 7주령에 두 가지 서로 다른 M.hyo 균주를 기관을 통해 연속적으로 접종했습니다(인공 감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