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희 교수(경상국립대학교 수의과대학)와 조호성 교수(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가 나란히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이하 과총)에서 주관하는 ‘제34회 과학기술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습니다. '과학기술 우수논문상'은 매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우수 논문을 선정하여 수여하는 상입니다. 올해는 과총 회원 학회로부터 지난해 발표된 논문 471편을 추천받아 심층 평가를 거쳐 총 243편을 선정했습니다. 먼저 이창희 교수는 ‘PED의 국내 발생 현황과 백신, 대응 전략(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an update overview of virus epidemiology, vaccines, and control strategies in South Korea)’ 논문을 대한수의학회지에 발표하였습니다(논문 보기). 이 교수는 논문에서 2013-2014년 PED 대유행 이후, 병원성이 강한 G2b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우세한 균주가 되었으며 계속 진화하고 있어 현재 백신의 효과를 벗어날 수 있는 새로운 유전자형이나 변종 PED 바이러스 출현 및 우세에 대비하기 위해 지속적인 능동적 모니터링과 감시가 필요함을 역설했습니다. 아울러 농장 내 상재 바이러스를
지난 23일 세바코리아(대표 김용석) 주최의 '온라인 세미나(웨비나)'가 'PRRS 컨트롤 전략,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라는 제목으로 열렸습니다. 이날 세미나 내용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PRRS 사독백신'을 농장의 PRRS 컨트롤 전략으로 추가해 볼 것을 제안한 것입니다. 농장이 북미형(PRRSV-2) 혹은 유럽형(PRRSV-1) PRRS가 문제가 되든, 이 때문에 생독백신을 쓰고 있든 아니면 쓰고 있지 않든 상관없이 PRRS 바이러스로부터의 경제적 피해를 줄이고자 하는 농장에게 전하는 메시지입니다. PRRS 바이러스는 유전적 변이가 매우 빠른 바이러스입니다. 바이러스간 재조합으로 전혀 새로운 변이주 바이러스가 출현하기도 합니다. 이른바 PRRS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순환감염되고 있는 'PRRS 불안정 농장'과 새로운 유전형의 PRRS 바이러스가 농장 내로 수시로 유입되고 있는 농장의 경우 그 변이 정도는 더욱 빠릅니다. PRRS 생독백신을 자주 교체하는 농장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이로 인해 진단과 예방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최근 도드람양돈농협 동물병원은 연구사례집 발간을 통해 'PRRS 관련 지난해 불안정화, 혼합감염, 강독형(NADC34 유사형) 피해
세바코리아(대표 김용석)가 오는 23일 오후 5시 'PRRS 컨트롤 전략,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라는 주제로 웨비나를 개최합니다. 국내 일선 농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PRRS 백신은 대부분 생독 백신입니다. 세바코리아(제품명 '프로그레시스')가 지난해부터 국내 공급하고 있는 PRRS 백신은 사독 백신입니다(관련 기사). 해당 백신은 유럽에서 개발되었으며, 모돈 프로그램을 통해 PRRS로 인한 번식질환 예방뿐만 아니라 자돈에게는 생후 10주령까지 보호하는 강력한 초유면역을 제공합니다. 북미형과 유럽형 PRRS 바이러스 모두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접종 부작용이 없어 임신·포유 등 번식 전 구간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기존 생독 백신 접종 그룹에 접종 시 부스팅 면역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3명의 연자가 PRRS 사독 백신에 대해 발표 예정입니다. 먼저 이창희 교수(경상국립대학교 수의과대학)가 'PRRS 발생현황과 통제방안-사독 PRRS 백신의 필요성'을 설명합니다. 이어 박경훈 원장(피그만 동물병원)은 '프로그레시스 국내 적용 사례'를 공유합니다. 끝으로 이현준 팀장(세바코리아 기술지원팀)은 '세바 사독 PRRS 백신 프로그레시스'를 소
농장에서 PED로부터의 피해를 줄이려면 바이러스의 농장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단방역수칙 이행이 가장 중요합니다. 피해 발생 시에는 신속한 진단과 유전자 검사를 실시하고 바이러스가 신규 유입된 것인지 혹은 내부순환하고 있던 것인지를 확인합니다. 이를 통해 차단방역의 취약부분을 인지·개선해 재발 가능성을 낮춥니다. 아울러 평상시 모돈군에 대한 백신 접종을 통해 자돈에게 충분한 면역을 제공합니다. 백신의 경우 반드시 G2b 항원 기반의 백신을 선택합니다. 사독 주사용 백신 접종 전 생독 경구용 백신으로 IgA 점막항체를 유도합니다. 인공감염은 농장 내 바이러스를 상재화 시킬 수 있고 변종 바이러스 출현 및 다른 질병 전파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양합니다. ※ 참고 논문: 한국의 PED 역학, 백신 및 통제 전략에 대한 개요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한국돼지수의사회(회장 최종영, KASV)가 오는 18일(목) 대전 계룡스파텔에서 '2024 KASV 포럼 및 정기총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포럼에서는 최근 현장에서 피해가 큰 것으로 알려진 PRRS와 PED 질병을 다룹니다. 정부 방역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의견을 나누며, 아울러 돼지수의사의 역량과 자질을 높이는 시간도 갖습니다. 구체적으로 ▶방역정책 계획 및 제안 ▶PRRS, PED 연구동향 및 대책 ▶수의사회 현안 문제 등 3가지 큰 주제로 나누어 진행합니다. 매 주제별 발표 후에는 토론이 이어집니다. 첫 주제인 '진료·방역정책 계획 및 제안' 시간에는 '2024년 방역정책계획(김정주 과장, 농림축산식품부 구제역방역과)'과 '방역정책안과 지자체 방역관의 업무(최옥봉 팀장, 경기도 동물위생방역위생과)', '전문가에게 말하고 싶은 양축가의 의견(한병우 대표, 대녕농장)' 등이 발표됩니다. 두 번째 주제인 'PRRS, PED 연구동향 및 대책' 시간에는 'PRRS 최근 연구 동향(유광수 교수, 원광대학교)'과 'PED 발생현황 및 국내 유행주 특징(이창희 교수, 경상대학교)'이 공유됩니다. 마지막 주제인 '수의사회 현안 문제' 시간에는 '돼지수의학 교육의
'돼지 유행성설사 바이러스(PEDV)'는 지난 30년 동안 한국의 양돈산업에 심각한 재정적 위협이 되어 왔습니다. PEDV 감염은 대부분 영향을 받은 '분만-비육(FTF) 돈군'에서 지속되면서, 연중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풍토성 돼지 유행성설사(endemic PED)'으로 이어집니다. 이 보고서는 한국의 풍토성 PEDV 지속성에 대한 현재 상황과 통제 조치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2013-2014년 PED 대유행 이후, HP-G2b PEDV는 국내에서 우세한 균주가 되었으며 계속 진화하여 소규모의 유전적 다양성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국내 HP-G2b 균주는 최근(2022년 초)까지 육지부 3개 클레이드와 제주도 2개 클레이드를 포함한 6개 지역 특이 클레이드로 유전적으로 구분되었으나, 현재는 육지와 제주도에서 거의 동시에 출현한 2개의 서브클레이드인 CK.1과 CK.2를 포함한 8개 클레이드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최근까지 HP-G2b PEDV에 효과적인 경구용 백신이 없어 '4가지 핵심 방역 전략(차단방역, 백신접종, 신속한 진단·능동적인 모니터링/감시, 돈군관리)'에서 빠진 조각이었지만, 경구용 G2b 백신의 국내 출시로 이를 완성할 수 있게 됐습니다.
지난 17일 제2축산회관 회의실에서는 '민관학 합동방역대책위원회' 산하 'PED/PRRS 대책반'의 첫 회의가 구경본 부회장(대한한돈협회)의 주재로 열렸습니다(관련 기사). 회의의 주제는 최근 현장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강독 PRRS(대한한돈협회는 '고병원성 PRRS'로 표현)'였습니다. 해당 바이러스는 'NADC34 유사 바이러스'로 경기와 충남북, 전북 일부 지역 농장에서 발병이 확인되었으며, 전국적인 확산이 예상되고 있습니다(관련 기사). 이날 본격적인 회의에 앞서 세 명의 연자 발표가 있었는데 이들은 이번 강독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PRRS 자체에 대한 국내 피해를 줄이기 위한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먼저 최종영 회장(한국돼지수의사회)은 컨설팅을 하고 있는 수의사(40명, 전국 104개 농장)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국내 PRRS 발생상황을 소개했습니다. 최 회장 발표에 따르면 PRRS의 국내 순환감염률은 80%로 추정됩니다. 이로 인한 번식 및 육성 피해는 예상을 훨씬 뛰어넘었습니다(모돈 폐사 있음 20%, 자돈폐사율 30% 이상 20% 등). 백신 효과도 떨어지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재감염율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점차 확산되고 있
최근 고병원성 PRRS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관련 문의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해당 PRRS 바이러스로 피해를 지속적으로 보고 있는 농장 관리자와 현장 수의사를 통해 나오는 경고의 목소리는 심히 우려를 자아낼 정도입니다. 모돈 유사산은 기본이고 모돈뿐만 아니라 자돈 폐사까지 유발하는 것은 기존 봐왔던 PRRS 발생 양상과는 전혀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경원 원장(스마트클리닉)에 따르면 해당 바이러스가 발병한 농장은 통상 돼지인플루엔자와 복합 감염되는 사례가 많은 가운데 전체 모돈 대비 식불의 경우 20~40%, 유산과 조산은 10~25%, 폐사는 2.5~10%가 발생한 바 있으며, 자돈의 경우 세균성 질병 상황에 따라 이유 후 폐사율이 20~5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존 백신 방어 효과도 낮고 재발률도 높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 때문에 지난 16일 경북 영덕(모돈 19마리 폐사)과 지난 18일 경기 파주(모돈9, 비육돈 40 마리 폐사) 농장들이 다량의 모돈 폐사를 이유로 가축전염병 발생 의심 신고를 있었는데 일각에서는 ASF보다 고병원성 PRRS를 먼저 의심하는 분위기가 있을 정도였습니다. 또한, 앞서 대한한돈협회는 지난 1
현재 일선 농장에서 문제되고 있는 야외 PED 바이러스와 동일한 균주(G2b)를 이용한 경구용 PED 생독 백신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사실 전 세계적으로도 처음입니다. 기존 백신에 더해 PED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중앙백신연구소(대표 윤인중)는 최근 신제품 '먹이는 PED-X Live' 런칭 세미나를 갖고 9월부터 본격적인 농가 보급에 나선다고 밝혔습니다. '먹이는 PED-X' 백신은 PED 바이러스 가운데 고병원성 G2b 균주에 속하는 변이형 야외분리주(KNJ-141112)를 기반으로 한 경구용 PED 생독백신 입니다. G2b 균주는 지난 2013년도부터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미국 등의 양돈산업에 큰 피해를 유발하고 있는 PED 바이러스 입니다. 이전까지만 해도 G1a 균주가 주로 문제였습니다. PED 바이러스가 변이를 통해 세대교체가 이루어진 것입니다. 2013년과 2014년 새로 출현한 G2b PED 바이러스로 인해 우리나라 양돈산업은 그 피해를 알 수 없을 정도의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에 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G2b 바이러스에 기반한 2세대 백신들이 지난 2015년부터 중앙백신연구소(
미국양돈수의사회(AASV, American Association of Swine Veterinarians)가 최근 5-6월호 잡지를 발간한 가운데 류영수 교수(건국대)와 이창희 교수(경북대), 두 사람의 사진이 잡지 한켠에 실려 눈길을 끌었습니다. 류 교수와 이 교수는 지난 3월 초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아고에서 열린 미국양돈수의사회 주최 연례세미나에 참석해 'APVS 2019 Busan(2019 부산 아시아양돈수의사대회)'을 홍보하는 시간을짬짬이가졌습니다. 2019 부산 아시아양돈수의사대회는'아시아 양돈의 비전이 세계 양돈의 미래(Vision of the Asian Pig, Future of the World Pig)'라는 모토로내년 8월 25-28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됩니다. 대회 조직위원회(위원장 정현규)측은 아시아를 포함한 전세계 양돈수의사 및 전문가들 2300여명이 등록할 것으로 기대하는 가운데류 교수는 대회 학술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이 교수는 학술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한편 대회 조직위원회는오는 10일 더케이호텔 서울에서킥오프 미팅을 갖고 분과별 본격적인 대회 준비에 나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