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축산물 이력 정보를 조회‧신고할 수 있는 전산시스템 4종을 개선하여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개선된 전산시스템은 ▶축산물이력제 홈페이지 ▶축산물 이력 정보 조회 앱 ▶축산물이력제 신고 앱 ▶축산물이력관리시스템 등 4가지입니다. 지난해 일반 국민 및 농장경영자 등 실제 이용자 약 4,000명의 의견을 받아 개선 사항을 발굴하였으며, 사용자를 중심으로 디자인과 기능이 개선되었습니다. '축산물이력제 홈페이지'의 경우, 소비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력번호 조회가 더 빠르고 편리해졌습니다. '축산물 이력 정보 조회 앱'은 위해축산물 경고 표시 기능이 새롭게 추가되어 식중독균 등이 검출된 축산물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축산물이력제 신고 앱'은 판매장 출고 신고 기능을 추가해 제도 이행 대상자는 더욱 편리하게 반출신고와 상세 반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력시스템' 또한 점검 대상 농장의 위치정보 제공과 점검 수 표시 등 기능을 확대해 이행점검 담당자들이 한눈에 농장 점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달 말까지 시범운영을 통해 이용자 불편 사항을 점검하고 보완 과정을 거쳐 더욱 유익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 이하 축평원)이 지난 4월부터 '모돈 개체별 이력관리 시범사업 참여 농가 확대'를 위해 민간 양돈 경영관리프로그램 업체와 양돈농가의 '마이데이터' 활용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개인으로부터 개인 데이터에 대한 열람 등의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를 받아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참여하는 업체는 전산(API) 연계를 통해 통해 회원 농가의 정보를 손쉽게 수집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서비스 개선 및 농가 생산성 향상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제공하는 정보는 △돼지 이력 신고 정보 △등급판정 결과 △등급판정 확인서 발급 정보 등입니다. 축평원은 지난해까지 소를 대상으로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운영했으며, 올해는 모돈 개체별 이력관리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양돈 전산 프로그램 업체를 대상으로 신청받을 예정입니다. 축평원 박병홍 원장은 “최근 정보 주체를 중심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가치’가 매우 중요해졌다.”라며,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는 국민의 자산이라고 할 수 있는 만큼 앞으로도 민간 데이터와 유기적 연계를 통해 데이터 활용성을 높이는 데 최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