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국제육류가격지수가 또 오르며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FAO(유엔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5월 국제육류가격지수는 124.6포인트입니다. 이는 수정된 전월(123.0포인트) 수치 대비 1.6포인트(1.3%) 높으며, 전년 동기 대비 7.9포인트(6.8%) 상승한 가격 수준입니다. 또한, 지난 '22년 6월 이후 가장 높습니다. 이러한 가격 상승은 돼지고기를 비롯해 소고기, 양고기 등 주요 육류 가격이 오른 결과입니다. 가금육의 가격 하락을 상쇄했습니다. 먼저 돼지고기 가격 상승은 글로벌 수요 증가와 독일이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회복하면서 수출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4개월 연속 가격 상승입니다. 소고기 가격은 주요 생산국의 수출 공급 부족, 세계 수요 증가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6개월 연속 가격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양고기 가격은 오세아니아의 수출 가격 상승과 중국, 중동, 유럽의 수입 수요 증가로 인해 상승하였습니다. 반면, 가금육은 브라질에서 5월 중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이후 주요 수입국들이 수입을 금지하면서 공급 과잉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한편 2025년 5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
7월까지 육류 수입에서 전년 대비 실질적으로 돼지고기만 두드러지게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소고기, 양고기, 닭고기의 수입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크게 약진한 모양새 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수입축산물 부위별 검사 통계 자료에 따르면, 수입 돼지고기는 7월까지 28만3천 톤이 수입되어 지난해 같은 기간 29만9천 톤에 비해 1만5천7백 톤이 줄어 5.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소고기와 양고기, 닭고기는 모두 크게 증가했습니다. 소고기는 7월까지 25만 톤이 수입되어 지난해 22만9천 톤보다 9.2%가 늘었습니다. 양적으로 2만1천1백 톤이 늘어난 것인데 이는 앞서 돼지고기 수입 감소분 1만5천7백 톤보다 많은 양입니다. 양고기도 수입이 늘었습니다. 7월까지 전년 대비 6천1백 톤이 더 수입되어 무려 55.1%나 증가했습니다. 닭고기 역시 늘었습니다. 지난해보다 9천2백 톤, 13.6%의수입증가가 확인되었습니다. 오리고기는 수입량 증감을 논하기에 양이 상대적으로 너무 미비합니다. 종합해보면 올해 7월까지 전체적으로 수입 육류는 지난해 대비 3.4% 늘었습니다. 양으로는 2만1천 톤이 늘어난 셈입니다. 소비자들의 전체 육류 소비는 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