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감소세에 있는 돼지 경매비율(제주 제외)이 올해 1.0%대로 떨어지고, 2030년에는 0%대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도매시장(공판장)을 통한 대표가격 체계의 붕괴가 임박한 상황입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과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자료에 따르면 2018년 돼지 경매두수(제주 제외)는 76만3천 두였으나, 지난해인 2024년에는 42만2천 두로 줄어들었습니다. 6년간 거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였습니다(-44.7%, 34만1천 두). 같은 기간 경매비율(경매두수/출하두수; 제주 및 등외 제외) 역시 2018년 4.6%에서 2024년 2.3%까지 하락했습니다. 도매시장 숫자는 11곳에서 4곳(김해, 부천, 음성, 신흥)이 줄어 이제 7곳(도드람, 협신, 삼성, 부경, 고령, 나주, 삼호)만 운영되고 있습니다. 요약하면 경매두수, 경매비율, 경매시장 모두 매년 뚜렷한 감소세입니다. 이러한 경향은 올해도 마찬가지입니다. 2월까지 경매두수는 6만9천 두이며, 경매비율은 2.2%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벌써 지난해(2.3%) 대비 0.1%포인트가 또 떨어졌습니다.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 관련한 공식 연구 결과는 없습니다. 이에 돼지와사람은 AI 프로그램(ChatG
현실과 같은 3차원 가상세계인 '메타버스' 기반의 가상 양돈교육 플랫폼이 나와 주목됩니다. 아직은 초기 단계이지만, 향후 개선에 따라 다양한 활용이 기대됩니다. 국내 에듀테크 기업 '엑스알터치(홈페이지)는 축산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출시한다고 지난 24일 밝혔습니다. 이번에 시제품으로 출시된 메타버스 실습 프로그램은 축사를 직접 운영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축산 교육을 돕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가상의 돼지를 사실적으로 구현해 교육생이 사료주기, 분뇨치우기, 영양상태 점검 등의 실습을 실제 상황과 유사하게 진행해볼 수 있도록 해줍니다. 사육기간과 관리방법에 따른 성장 시뮬레이션도 가능합니다. 교육기관의 학사관리시스템(LMS)과 연동돼 교육생의 실습이력과 참여도에 대한 평가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엑스알터치는 플랫폼 업데이트 후 내년 관련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계획입니다. 엑스알터치는 “비대면 트렌드의 확산으로 직무교육의 실습기회가 축소됨에 따라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교구재 활용 실무교육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해 바리스타, 산업재 정비 등의 프로그램으로 확대해 나가겠으며 플랫폼으로 진화해
세바코리아(대표 김용석, 이하 세바)가 다산성모돈과 자돈의 생산성 관리 도구로서 두 가지 유용한 양돈 관련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선보였습니다. 세바는 지난 8일 전주 라마다호텔에서 '다산성모돈 100% 활용하기'라는 주제로 세미나(관련 기사)를 열고, 이 자리에서 양돈 경제성 분석 도구로서세바가 개발한 앱, '세바 폐병변 프로그램(Ceva Lung Program)'과 '레프로노믹스(Repronomics)', 두 가지를 소개했습니다. '세바 폐병변 프로그램'은 도축장에서 일정 두수의 폐 병변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시스템에 입력하여 농장 내의 호흡기 질환(마이코플라즈마, 흉막 폐렴 등)의 감염 여부와 감염 정도를 꾸준히 측정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 입니다. 아울러 실험실 검사 결과와 비교 및 데이터 축적등이 가능하고,백신 효능 평가에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레프로노믹스'는농장 내에서 번식돈군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주는 앱입니다. 농장 내 번식성적 및 경영 관련 지표(배치단위, 분만틀 숫자, 후보돈 갱신율 등)를 입력하면, 농장 내 대략적인 경영성적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교배일령의 감소, 이유 후 교배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