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의 멧돼지 서식밀도(1.1마리/㎢)는 ASF가 발생한 해인 2019년(2.3마리/㎢) 비교해 절반 수준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정부가 내건 목표치(0.7마리/㎢ 이하)와는 아직 차이가 있습니다. 연중 상시 포획에도 불구, 달성하는데는 실패한 것입니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2022년 한 해 동안 전국 17개 시도를 대상으로 야생멧돼지 서식밀도를 조사한 결과, ㎢ 당 평균 1.1마리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2019년부터 매월 전국 17개 시도 내 멧돼지 서식 가능지역(산림 등) 2,550개 조사지점(지점 당 1㎢, 총 2,550㎢, 전체 국토 면적의 2.6%에 해당)에서 멧돼지 서식밀도를 조사 및 분석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환경부, 지방(유역)환경청,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등 관계 기관과 공유하고 있습니다. 조사 방법은 조사지점 내 임의의 이동선(1km 이상)을 긋고 이동선 주변의 흔적을 조사하는 선형조사법을 주로 이용합니다. 그 밖에 동물털 포집 철조망(헤어 트랩), 무인기(드론) 등을 이용하여 야생멧돼지 폐사체 발생지역과 인접 시군을 대상으로 서식밀도를 분석합니다. 분석
강원도 내 야생멧돼지 숫자가 1년 만에 1/10로 크게 감소해 새로운 멧돼지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야생멧돼지로 인한 ASF의 확산을 차단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강원도와 강원녹색환경지원센터,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박영철 교수 등이 함께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수행한 '강원권 4개 지역(양구, 화천, 횡성, 홍천)의 야생멧돼지 서식밀도 및 행동권에 관한 생태연구사업'을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연구팀은 양구, 횡성, 홍천, 화천 등 4개 지역의 양돈 농가 주변에 무인센서카메라를 설치하고 서식밀도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당 양구 0.28마리, 횡성 0.24마리, 홍천 0.11마리, 화천 0.06마리로 각각 파악되었습니다. 이 수치는 지난해에 조사한 국립생물자원관의 강원지역 야생멧돼지의 평균 서식밀도 2.1 마리/㎢보다 화천은 87%, 양구는 89%, 횡성은 95%, 홍천은 97%가 감소하는 등 작년 대비 평균 92% 감소한 것입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멧돼지 밀도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그러면서 "이제는 멧돼지의 포획제거의 범위를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포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