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MZ들 사이에서 로제의 아파트는 아파트라는 공간 개념을 게임으로 변화시켜 재미를 더해 인기를 얻고 있다. 기존의 아파트가 단순한 주거 공간이었다면, 이 게임은 새로운 방식으로 공간을 활용하는 상상력을 자극한다. 마찬가지로, 도시농업은 단순한 도심 속 농사에서 벗어나 자원 순환과 환경 보호라는 더 큰 의미를 담아 도시 공간을 재해석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도시농업의 날’은 2015년 민간단체들이 만물이 소생하는 봄, 도시민의 농사 의욕이 충만해지는 4월과 흙을 연상시키는 11일(十 + 一 = 土)의 의미를 결합하여 기념일로 선포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2017년부터 법정기념일로 지정되어 매년 4월 11일, 도시농업의 가치와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의미 있는 날이 되었다. 도시농업은 단순히 도심 속에서 농작물을 기르는 것을 넘어 환경 보호와 자원 순환을 촉진하는 중요한 활동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반려식물 기르기 문화가 확산되면서 많은 시민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을 실천하고 있으며, 이는 도시농업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흐름은 경축순환(耕畜循環)을 실현할 중요한 기회로 이어지고 있다. 2
동물권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윤리적 채식주의'를 주장합니다. 고기를 먹으면 안 되는 이유는 '동물이 고통을 느끼기 때문'이라면서 '식물이 고통을 느낀다'라는 주장은 사이비 과학이라고 주장합니다. '윤리적 채식주의'라는 말에는 채식주의에 대한 도덕적 우위를 점하고 육식에 대한 비난이 깔려 있습니다. 반려식물, 애완식물이라는 말이 낯설지 않는 요즘, 식물애호가들은 반려식물도 반려동물처럼 인간과 교감이 가능하다고 느끼지만 과학적으로 설득할 수는 없었습니다. 막연하게만 여겨온 인간과 식물의 상호작용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려는 논문이 농촌진흥청에서 발표되었습니다.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식물이 인간 행동에 대해 기체 화학물질을 통해 반응하는 현상을 포착하고 인간과 식물의 교감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식물이 위협에 처하면 화학물질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데 이를 ‘화학언어(chemical word)’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화학물질이 ‘메틸자스몬네이트(MeJA: methyljasmonate)’입니다. 농촌진흥청은 종자를 퍼트리기 위해 인간을 이용하는 식물(우슬, 도깨비바늘) 보다 인간이 식용으로 이용하는 식물(갯기름나물, 우산나물)이 사람이 접근했을때 약 9배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