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기홍연구소(소장 안기홍)에서 '2025년 일본식품박람회 및 고품질 돈육 벤치마킹 연수(이하 연수)'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이번 연수는내년 3월 12일부터 15일까지 3박 4일 일정입니다. 첫날 '일본식품박람회(Foodex Japan 2025)' 식육산업전 참관을 시작으로 브랜드돈육 판매점 및 캐나다산 돈육 전문식당, 6차산업의 성지 '사이보쿠' 및 일본 최고의 브랜드 돈육회사 'G·P·F' 등을 방문 예정입니다. 일본 브랜드 돈육 전문가와의 만남 일정도 준비 중입니다. 돈육 브랜드 및 6차산업, 한돈산업의 경쟁력 등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연수 관련 문의 및 신청은 안기홍연구소(안기홍 소장 010-3343-9935/ahnkihong@naver.com)로 연락하면 됩니다. 안기홍 소장은 "이번 연수는 일본 고품질 돈육 브랜드와 6차산업을 직접 경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본 양돈산업이 미래 생존을 위해 어떤 전략을 준비하고 있는지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며, "부가적으로 연수 기간 참석자들과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아이디어와 식견을 얻을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이달의 에이(A)-벤처스 제64호 기업으로 '딥플랜트(대표 김철범, 홈페이지)'를 선정하였습니다. ‘딥플랜트’는 인공지능과 물리적 가공방식인 ‘딥에이징’을 이용하여 저등급·비선호 부위의 육류까지도 맛과 식감을 살리는 숙성 특허기술을 보유한 새싹기업(스타트업)입니다. 한돈·한우의 기간에 따른 연도, 맛 변화, 지방과 단백질 함량, 아미노산 함량, 산도(pH) 변화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부위별로 구축하고, 인공지능을 통해 숙성에 따른 맛, 식감 등 품질을 분석·예측합니다. 또한, 분석한 육류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압과 초음파, 수온을 혼합한 물리적 가공처리(딥에이징 기술)를 거쳐 육류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육류의 맛을 최적화 할 수 있도록 숙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딥플랜트는 딥에이징 기술을 이용하여 숙성된 저등급·비선호 부위의 육류를 국내 대형 유통사 및 마트, 홈쇼핑, 레스토랑 등 다양한 유통망을 통해 공급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아시아 최대 새싹기업(스타트업) 행사인 싱가포르 ‘스위치 슬링샷(SWITCH Slingshot)’에 참여하여 4,700여개 새싹기업(스타트업) 중에서 최고 50위권(T
맛의 기원을 찾아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최초로 '기본 맛'에 대해 언급하였다. 그러나 이 때는 단맛과 쓴맛, 2가지의 맛만이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인도의 고대 의학자인 '아유르베다'가 단맛, 짠맛, 신맛, 쓴맛, 떫은맛, 매운맛을 기본 맛으로 규정하였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맛은 혀의 미뢰를 통해 느낄 수 있는 단맛, 짠맛, 신맛, 쓴맛에 감칠맛, 지방맛을 기본 맛으로 규정하고 있다. 떫은맛과 매운맛은 촉각에 의해 구분되기 때문에 별도로 분류되었다. 탄소, 수소, 산소, 질소에 맛이 있을까? 맛이란 미뢰의 수용체에 각각의 영양소 분자가 달라붙으면서 발생하는 신호를 신경과 뇌에서 각각의 맛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탄소, 수소, 산소, 질소에는 실제 맛이 존재하지 않지만 우리 뇌에서 구성 성분에 따라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 및 지방맛으로 느끼는 것이다. 맛의 출처와 역할을 들여다보면 맛이란 동물이 생존을 위해 진화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각각의 맛은 에너지와 영양소의 공급(단맛, 감칠맛, 지방맛), 식품의 위험성 경고(신맛, 쓴맛) 및 체내 전해질 균형 유지(짠맛)를 위해 발달하였다. 추가적으
축산물품질평가원(이하 축평원)이 수행한 '실용화 연구'에서 육질과 맛은 이베리코가 국내산 돼지고기보다 전반적으로 앞선다는 결과가 나와 주목되고 있습니다. 축평원은 지난해 부경양돈농협과 경상대학교와 함께 '이베리코 돼지고기와 국내산 돼지고기의 품질 특성 및 기호성'을 주제로 연구를 실시했습니다. 국내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이베리코 돼지 목심과 국내산 목심 5종(YLD, YBD, 두록 순종, 버크셔; 지리산·제주흑돈)의 육질과 맛을 비교한 것입니다. 육질은 pH와 육색을 반복 측정하고 압착감량과 가열감량, 전단가를 측정했습니다. 맛은 맛 관련 특성 물질(유리아미노산, 지방산, 핵산관련물질 등)을 분석하고, 전자혀와 관능검사요원들의 평가로 객관성을 담보하려 했습니다. 연구 결과 이베리코는 국내산 돈육에 비해 육색이 짙고, 지방 함량이 압도적으로 많고, 가열감량은 적으며 전단가가 낮아 육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맛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에서, 이베리코는 쓴맛과 관련이 있는 Hypoxyanthine 함량이 높았습니다. 그리고 유리아미노산 중 맛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Aspartate 함량이 다른 국내산 돈육보다 2배 정도 많은 특징을 보였고, Ty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