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곰팡이 독소가 소장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유산균 배양액을 활용해 독성 저감 효과를 확인하는 데도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사료를 제대로 보관하지 않으면 곰팡이가 번식하면서 독소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이 독소는 가축의 장 기능을 손상시키고, 사료 섭취량 감소·성장 저하·생식 기능 저하 등을 유발해 생산성을 떨어뜨리며 축산 농가에 큰 경제적 피해를 줍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소의 소장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를 활용했습니다. 곰팡이 독소에 노출된 소 소장 오가노이드는 장벽 기능이 무너지는 것이 관찰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정상 상태에서는 4kDa 덱스트란이 통과하지 못했으나, 곰팡이 독소 처리 시 장벽이 무너져 내부로 통과되었습니다. 하지만, '유산균 배양액(저감제, Lactobacillus)'을 처리하자 덱스트란의 일부만 통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산균 배양액이 장벽 보호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Apical-out intestinal organoids as an alternative model for evaluating deoxynivalenol toxicity and Lactobacil
소비자들의 축산 항생제 사용에 대한 우려가 커질수록 이를 대신할 수 있는 미생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관련해 흥미로운 소식이 있어 전합니다.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축산동물의 장내 유해 세균을 제어하는 락토바실러스 유산균 2종을 최근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19년부터 최근까지 생균제로 활용 가능한 미생물을 발굴하기 위해 경북지역에서 생산되는 전통 막걸리, 발효 사료 등에서 유산균 5종을 선별하고, 미생물 군집 분석을 통해 축산동물 장내 미생물 군집 조절능을 분석했습니다. 연구진은 분리한 유산균을 축산동물 분변 유래 장내미생물에 처리하여 미생물 군집 변화를 분석하였습니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파라부크네리 NSMJ16(Lactobacillus parabuchneri NSMJ16)’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NSMJ23(Lactobacillus brevis NSMJ23)’ 균주가 에스케리치아 퍼구스니(Escherichia fergusonii)와 모르가넬라 모르가니(Morganella morganii)’등과 같은 항생제 내성균이자 유해세균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