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2024년 상반기 ‘돼지개량 네트워크 구축사업’을 통해 유전능력이 뛰어난 한국형 씨돼지(종돈) 총 8마리를 선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발한 8마리는 ‘두록(부계)’ 4마리, ‘요크셔(모계)’ 3마리, ‘랜드레이스(모계)’ 1마리 등입니다. ‘두록’은 90kg 도달 일령이 전체 종돈 평균보다 최대 20일 빨랐습니다. '요크셔'와 '랜드레이스'는 생존자돈수가 평균보다 각각 최대 2.3마리, 2.6마리 많았습니다. 선발 종돈은 돼지개량 네트워크 구축사업 인공수정센터로 지정된 다비육종 중원SP센터, 도드람양돈서비스를 통해 사업 참여 종돈장에 공급하고, 일반농장에도 판매할 예정입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2024년 상반기 한국형 종돈 선발에 이어 하반기 12마리를 추가 선발해 총 20마리를 확보할 계획입니다. 또한, 국립축산과학원은 그동안 제공하지 않았던 ‘두록’ 번식 형질 평가 시스템을 추가 구축해 이달부터 사업 참여 종돈장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랜드레이스’와 ‘요크셔’ 성장 형질을 제공하는 시스템도 추가 구축한다는 방침입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개량평가과 박병호 과장은 “15년 넘게 지속해 온 돼지개량 네트워크 구축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2023년 상반기 ‘돼지개량 네트워크 구축사업’을 통해 유전능력이 뛰어난 한국형 씨돼지(종돈)를 9마리 선발했다고 밝혔습니다(관련 기사). 이번에 선발한 9마리 종돈은 ▶두록(부계) 5마리 ▶요크셔(모계) 3마리 ▶랜드레이스(모계) 1마리 등입니다. ‘두록’의 경우 90kg 도달일령 육종가를 종합적으로 평가했을 때 참여 종돈장 전체 평균 성적보다 15.7일 빠릅니다. ‘요크셔’는 생존 자돈수에 대한 육종가가 참여 종돈장 전체 평균보다 2.5마리 많습니다. ‘랜드레이스’는 0.8마리 많습니다. 이번에 선발한 종돈은 먼저 돼지개량 네트워크 구축사업 인공수정센터로 지정된 '도드람양돈서비스(정읍, 논산)'와 '다비육종 조치원 에스피(SP)센터'에 입식됩니다. 이후 돼지개량 네트워크 구축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참여 종돈장의 종돈 생산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2023년 상반기 한국형 종돈 9마리 선발에 더해 하반기에는 11마리를 추가해 총 20마리를 선발한다는 계획입니다. 또한, 2022년에 비해 두록(부계)을 2마리 줄이고 요크셔(모계)를 3마리 늘려 종돈장 수요에 대처할 예정입니다. 한국종축개량협회 송규봉 종돈개량부장은 “중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돼지개량 네트워크 구축사업’을 통해 유전능력이 뛰어난 한국형 종돈으로 ‘두록(부계)’ 4마리, ‘요크셔(모계)’ 4마리, ‘랜드레이스(모계)’ 2마리 총 10마리를 선발했다고 지난 18일 밝혔습니다. 이번에 선발한 ‘두록’의 90kg 도달일령 육종가를 종합적으로 평가했을 때 참여 종돈장 전체 종돈 평균보다 17일 빨랐습니다. ‘요크셔’는 생존 자돈수에 대한 육종가가 참여 종돈장 전체 종돈 평균보다 2.5마리 많았고, ‘랜드레이스’는 1.1마리 많았습니다. 이번에 선발한 종돈은 돼지개량 네트워크 구축사업 인공수정센터로 지정된 '도드람양돈서비스 정읍센터'에 입식되어 협력 종돈장의 종돈 생산에 활용됩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한국형 종돈 10마리 선발에 이어 12월에는 10마리를 추가하여 올해 총 20마리를 선발할 예정입니다. 또한, 한국형 종돈의 유전능력 개량이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부계 종돈에 도체 품질 관련 형질을 추가하고, 유전체 선발 등 첨단 기법을 적용하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한편 돼지개량 네트워크 구축사업은 국내 종돈장이 보유한 우수 종돈을 선발, 공유, 평가하여 유전적 연결을 확보함으로써 국내 환경에 맞는 한
90kg 도달일령이 거의 한 달 가량 빠른 한국형 종돈이 확보되었습니다.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돼지개량네트워크 구축사업’을 통해 유전능력이 뛰어난 종돈(씨돼지) 11마리를 선발했다고 지난 28일 밝혔습니다. 이들 11마리는 부계 쪽 ‘두록’ 3마리, 모계 쪽 ‘요크셔’ 6마리와 ‘랜드레이스’ 2마리 등입니다. 이번에 선발된 부계 종돈의 90kg 도달일령은 참여 종돈장 전체 종돈 평균보다 26.9일 빨랐습니다. 114.7일입니다. 모두 농협종돈개량사업소에서 선발되었습니다. 또한, 모계 종돈의 생존 자돈수는 참여 종돈장 전체 종돈 평균보다 ‘요크셔’는 2.8마리, ‘랜드레이스’는 1.7마리 많았습니다. 각각 15.8두, 12.5두이며, 농협종돈개량사업소와 다비육종 성진종돈에서 선발되었습니다. ‘돼지개량네트워크 구축사업’은 각 종돈장이 보유한 종돈을 평가해 우수 유전자원을 공동 활용함으로써 한국형 종돈을 개량하는 민관 합동 사업입니다(관련 기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을 비롯해 한국종축개량협회, 종돈장 17곳과 돼지인공수정센터 3곳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까지는 연 2회에 걸쳐 총 14마리의 종돈을 선발했으나 올해부터는 선발 횟수를 늘려 연 4회 총
양돈산업 발전으로 우리나라의 종돈 검정 두수는 1992년 1,729 두에서 지난해 6만 8,318 두로 40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종돈장이 직접 우수한 종돈을 선발할 수 있는 교육이 열렸습니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돼지 개량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15일부터 17일까지 한국농수산대학에서 ‘2018년 상반기 돼지 능력검정원 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돼지 검정은 후보 돼지 가운데 능력이 높은 종돈과 낮은 종돈를 알아보고 도태나 선발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능력검정원 자격을 받으면 ‘자가검정’ 자격이 부여돼 검정기관 검정원의 입회 검정 없이 농장주가 직접 검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교육은 종돈업 허가 농장(종돈장)과 돼지 검정 기관의 교육 신청자 등 20명을 대상으로 이론과 실습으로 나눠 진행합니다. 이론은 돼지 혈통등록과 농장 검정 방법, 돼지개량 원리, 초음파 측정 이론 등 돼지 능력검정 관련 이론으로 이루어 집니다. 실습은 90~110kg의 살아있는 돼지 시험축을 대상으로 경제형질인 등지방 두께, 등심 단면적, 정육율을 초음파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인증 자격은 교육 마지막 날 필기 시험과 실기 시험에서 인증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