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이 2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습니다. 농경연의 국제곡물 관측 4월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2015년=100)는 전 분기보다 1.4% 상승한 138.5입니다. 2분기 연속 상승했습니다. 다만, 138.5는 당초 예상치(139.5)보다 1.0포인트 낮은 수준입니다. 3월 옥수수, 대두박 등 주요 원료 수입단가가 하락한 영향입니다. 특히, 대두박 하락폭이 컸습니다(전월 대비 -3.4%, 전년 대비 -18.8%). 최근 가장 큰 변수로 떠오른 대미환율 상승이 하락폭을 제한했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2분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에 농경연은 2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 예상치를 기존 139.1에서 136.5으로 더 크게 내렸습니다. 3분기 만에 소폭 하락에서 확실한 하락으로 전망했습니다. 대미환율은 여전히 변수입니다(2분기 전망치 1450.8원/달러). 미국발 관세 폭탄에 더욱 유동적입니다. 한편 농경연은 오는 4분기 사료 수입단가에 영향을 줄 2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2015년=100)는 전 분기(113.6) 대비 1.7% 하락하는 111.7(전년 동기 대비 -7.9%)이 될
올해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는 1분기까지 두 분기 연속 상승하다가 2분기에는 소폭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이 최근 발표한 국제곡물 관측 3월호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는 전 분기보다 3.7포인트 오른 136.6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10월 예측치(135.5)보다 1.1포인트 더 높은 수준입니다(관련 기사). 대미환율 상승폭이 예상보다 더 컸기 때문입니다. 환율 영향은 올해 계속 이어지는 모양새입니다. 농경연의 올해 1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 예측치는 4분기보다 2.9포인트(2.1%) 오른 139.5입니다. 역시 지난해 10월 예측치(132.1)보다 7.4포인트 더 높습니다. 농경연은 대두박 수입단가 하락에도 대미환율 상승으로 올랐다고 분석했습니다. 농경연은 다만, 2분기의 경우 사료용 옥수수 상승에도 지난해 4분기 대두박 선물가격 하락 시기에 구입한 물량이 도입되면서 0.4포인트(0.3%) 소폭 하락한 139.1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한편 농경연은 오는 3분기 사료 수입단가에 영향을 줄 올해 1분기 국제곡물 선물지수는 전 분기 대비 5.1% 상승한 114.6로 전망했습니다(전년 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