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RS는 양돈산업에서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PRRS 바이러스는 유전적 다양성과 서로 다른 병원성을 가진다. 한국 양돈산업에서 PRRS 발생으로 인한 생산성적 및 경제적 손실의 영향에 대한 공식적인 보고서는 거의 없다. 이 연구는 모돈 650두 규모의 2 사이트(site) 농장에서 야외주 유럽형 PRRS 바이러스 감염 전후 27주간의 생산성적 및 경제적 손실을 번식구간과 자돈구간으로 분류해 분석했다. 총 32배치(batch)의 교배 복수 1,907두, 분만복수 1,648두, 이유두수 17,129두 기록을 근거로 번식과 자돈 구간의 생산성적을 분석했다. PRRS 발생 전과 후의 생산성적의 차이는 상당한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고 결과는 아래와 같다. ● 분만율 7.1% 감소(p<0.0001) ● 유산 발생률 3.9%증가(p<0.0001) ● 재발율 2.9% 증가(p=0.0250) ● 재귀일 1.9일 증가(p<0.0001) ● 복당 총산 1.2두 감소(p<0.0001) ● 복당 실산 2.2두 감소(p<0.0001) ● 복당 이유두수 2.7두 감소(p<0.0001) ● 이유 전 폐사율 7.4% 증가(p<0.0
경기도가 야생멧돼지를 대상으로 흉막폐렴, 써코, 살모넬라, PRRS 등 일반 가축전염병에 대한 감염 여부를 조사했는데 흥미롭게도 일반 돼지와 마찬가지로 양성률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멧돼지 사이에 이들 질병이 순환감염되고 있다는 얘기여서 일선 농장의 차단방역 차원에서 주목됩니다. 경기도북부동물위생시험소 연구팀은 지난 2020년 한국가축위생학회지에 '경기도 북부지역 야생멧돼지 전염성 질병 감염 실태 조사'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논문은 지난 2019년 12월부터 2020년 2월까지 고양과 남양주, 의정부, 양주, 포천, 동두천, 가평 등에서 포획 및 폐사된 멧돼지 혈액 시료 500점을 가지고, 주요 돼지 전염성 질병 9종에 대한 멧돼지에서의 감염률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 검사한 질병 9종은 CSF(돼지열병)과 FMD(구제역) 등 국가 재난 가축전염병 2종과 PRRS, PCV2(써코), 유행성폐렴(MH), 흉막폐렴(APP), 살모넬라(Sal. spp.), 파스튜렐라 멀토시다 A형(PMA), 글래서씨병(HP) 등 일반 전염병 7종입니다. CSF는 혈액 239점을 대상으로 검사가 시행되었고 나머지 질병은 혈액 500점을 검사하였습니다.
중국의 ASF 상황이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전혀 새로운 유전형의 ASF 바이러스가 출현한 것입니다. 이같은 사실은 최근 'Emerging Microbes & infections'이라는 저널에 올라온 중국농업과학원 연구팀의 논문(원문보기)을 통해 알려졌습니다. 해당 논문에서 중국 연구팀은 "중국은 고병원성의 유전형 2형 ASF 바이러스가 지난 2018년 이후 중국에서 널리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HeN/ZZ-P1/21과 SD/DY-I/21이라는 유전형 1형 ASF 바이러스 두 개가 각각 허난성과 산둥성의 돼지 농장에서 분리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해당 바이러스(SD/DY-I/21)를 돼지에 공격 접종한 실험도 소개했습니다. 그 결과 병원성이 낮은 것을 확인했습니다. 감염된 돼지는 급성형으로 진행되지 않고, 가벼운 증상, 만성질환 등을 보였을 뿐입니다. 기존 유전형 2형 바이러스 감염과 달리 증상이 심하지 않고 죽지도 않는다는 얘기입니다. ASF 발병 초기 쉽게 발견이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유전형 2형에 기반한 백신에 효과가 있을 가능성도 매우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때문에 중국 연구팀은 "유전형 1형 ASF 바이러스의
양돈농가의 빠른 규모화·전업화·기업화로 고용 노동이 증가하고 전문 인력이 필요해졌으며, 근무환경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양돈 경영자의 관심은 생산성과 수익성에 치우쳐 있고 직원과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은 매우 미흡하다. 이에 양돈농가 근무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함은 물론, 근무환경의 개선이 궁극적으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밝히기 위하여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양돈농가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이 직원의 이직의도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양돈농가가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여 직원의 이직률을 낮추고, 경영에 안정적으로 참여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는 선행연구와 설문조사, 분석으로 진행하였으며 2020년 4월, 3주 동안 실시한 온라인 중심의 설문에는 양돈농가 종사자 598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특성을 보면 농장 대표가 응답한 농가의 91.7.%에서 외국직원이 근무하고 있었으며, 이 중 외국직원의 평균수는 5.4명(60.1%)이고, 2019년 평균 이직률은 20.5%로 나타났다. 직원이 응답한 근무에 관한 특성으로는 직원의 40.7%
돼지호흡기복합질병 Porc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PRDC)은 우리나라와 세계의 양돈 산업에서 심각한 피해를 끼치는 원인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PRDC의 가장 흔한 바이러스 원인체로는 돼지호흡기생식기증후군 바이러스(PRRS), Classical swine fever(CSF), Swine influenza virus(SIV), Pseudorabies(PRV), 그리고 Porcine Circovirus type 2(PCV2) 등이 있다. 세균 원인체로는, Mycoplasma hyopneumoniae, Pasteurella multocida, Bordetella bronchiseptica, Haemophilus parasuis, Streptococcus suis 그리고 Actinobacillus spp.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원인체 상호간의 작용을 이해하는 것은 질병의 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PRDC를 효과적으로 예방, 관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적절한 진단이 필요하며, 농장의 상황에 맞춰 항생제나 백신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관리요소로 지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인 모델 및 공격
중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된 '코로나19'가 중국의 'ASF' 발병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주장의 연구 논문(How One Pandemic Led To Another: Asfv, the Disruption Contributing To Sars-Cov-2 Emergence in Wuhan; 원문 보기)이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해당 논문은 중국 화난농업대학과 영국 글래스고대 바이러스 연구센터의 공동 연구팀의 공동 연구 결과입니다. 연구팀은 "2019년 12월 이전 (중국 내 ASF 발병으로 인한) 돼지고기 시장의 심각한 변동으로 인해 코로나19를 포함하여 야생동물에서 인간으로, 야생동물에서 가축으로, 비지역 동물에서 지역 동물로의 전염이 증가했을 수 있다"며, "(중국 정부의) 돼지 이동 및 도태 제한에 따른 돼지고기의 극적인 부족으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여 대체 육류 공급원과 야생동물과 관련된 비정상적인 동물 및 육류 이동이 발생하여 인간-바이러스 간의 접촉 기회가 크게 증가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야생동물이나 감염된 동물로부터 코로나19에 대한 인간의 노출은 중국이 ASF 대유행의 최악의 영향을 경험한 2019년에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
지난 금요일 국내 1위 종합 뉴스 통신사의 기사 하나로 한돈산업의 가슴을 또 한 번 철렁이게 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지난 16일 오후 3시경 연합뉴스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인간 감염 잠재적 위험 있다'는 제목의 한돈산업 입장에서는 매우 충격적이고 황당한 기사를 내었습니다. 해당 기사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에 실린 한 논문 내용을 전하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러면서 "이미 국내에 상륙한 ASF 바이러스가 잠재적으로 인간에게 감염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소개했습니다. 명백한 오보이고 가짜 뉴스입니다. 논문에서 언급한 바이러스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일종인 SADS(돼지 급성 설사 증후군 코로나 바이러스; Swine Acute Diarrhea syndrome coronavirus)입니다. 그런데 영문을 알 수 없지만, 기사는 이를 ASF로 해서 연구 결과를 전한 것입니다. 게다가 기사 이미지에 최근 ASF 발생 현장 사진과 강원도 야생멧돼지 ASF 검출 현황 지도를 삽입해 일반인들이 볼 때 당연하게 기사 내용을 액면 그대로 믿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이내 기사 댓글에는 돼지고기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이 달렸습니다. 누리꾼들은 '저녁에 삼겹살을 먹으려고 사
대한수의사회(관련 기사)에 이어 산하 한국양돈수의사회(회장 김현섭, 이하 양돈수의사회)가 최근 '돼지 코로나19 감염 가능성' 관련 입장문을 내었습니다. 역시나 보다 전문적이고 구체적입니다. 양돈수의사회는 15일 최근 캐나다식품검사국(CFIA) 등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돼지도 코로나19(SARS-CoV-2)에 걸릴 수 있다”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일부 국내 매체의 보도와 관련하여 관련 실험 결과 등을 검토한 결과 관련 보도는 실험의 결과를 과장하여 확대 해석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실험 결과 자체 또한, 돼지에 감염되거나 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증거를 찾기가 어려우며, 돈육으로 인한 인체감염의 위험성은 거의 존재하지 않다고 강조하였습니다. 양돈수의사회는 그 근거로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하였습니다. 다소 내용이 길지만, 차후 일반 언론의 재차 주장에 대비, 전문을 그대로 전합니다. ①코로나19 바이러스(이하 ‘바이러스’)가 돼지 체내에 침투하여 감염되고 질병을 일으켰다는 증거가 없다. 바이러스가 검출된 비강 스왑이나 구강액 검사는 일반적인 실험보다 10배 높은 농도로 바이러스를 공격 접종한 접종 경로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감염 초
대한수의사회(회장 허주형)가 최근 주요 언론의 코로나19의 돼지 혹은 돼지고기틀 통한 감염 가능성 제기에 과장된 주장이며, 국내산 돼지고기는 안심하고 소비해도 된다는 공식 입장문을 내었습니다. 대한수의사회는 14일 산하 재난형감염병특별위원회(이하 감염병 특위, 위원장 조호성 전북대 교수) 이름으로 낸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11일 바이오아카이브에 발표된 캐나다-미국 연구팀의 돼지 코로나19 공격감염 실험에 대한 연구와 국내·외 보도에서 언급된 돼지와 돈육을 통한 코로나19의 전파의 우려에 대한 회 차원의 공식 의견을 제시하였습니다. 보도자료에서 감염병특위는 먼저 문제의 해당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문제점을 지적했습니다. 감염병특위는 "해당 논문의 내용은 코로나19를 통상적인 실험 농도보다 10배 높게 투여한 16마리의 돼지에서 공격 감염 후 유전자검사(RT-PCR)를 실시한 결과 사람에서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구강 면봉 시료에 대한 검사에서 모두 음성이었고, (다만) 비강세척액에서는 16마리 중 2마리(감염 3일째 단 1회), 구강액에서는 2그룹(8마리씩 한 그룹)중 한 그룹(감염 3일째 단 1회)에서만 RT-PCR 양성이 확인되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우리 일반 언론들의 이슈·속보 경쟁에 한돈산업이 화들짝 놀랄만한 일이 또 발생했습니다. 13일 연합뉴스를 비롯한 국내 일반 언론들은 일제히 '돼지도 코로나19에 걸릴 수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내었습니다. 중앙일보와 한국경제 등 몇몇 언론은 한 발 더 나아가 '돼지고기 먹어도 될까?'라는 추가 제목을 달고 육류를 통한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을 우회적으로 제기하며 기사를 확대 재생산했습니다. 사실상 공포감을 조장한 것입니다. 소동의 발단은 12일자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의 기사로부터 출발했습니다. 해당 제목은 'Pigs can be infected with coronavirus, Canadian-US study finds' 입니다. 해석하자면 '캐나다-미국 연구에 따르면 돼지가 코로나19에 감염될 수 있다' 입니다. 해당 기사는 최초 연합뉴스(기사 보기)에 의해 번역되어 소식이 전달되었습니다. 이윽고 다른 신문·방송사들이 이를 토대로 비슷한 기사를 앞다투어 내기 시작했습니다. 최초 보도인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기사(바로가기)의 핵심 요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난 11일 바이오아카이브에 발표된 논문(바로보기)에 의하면 ①캐나다-미국 연구팀에 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