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트리움(대표 남기석, 경남 함양)은 모돈 190두를 포함해 전체 돼지 사육두수 3천두 규모의 일관사육 농장입니다. 특이하게 외부인력 없이 가족경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생산성('24년 PSY 32.2, MSY 30.8)뿐만 아니라 등급성적, 냄새환경 측면에서 전국적으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남이현 팀장은 1·2 세대의 조화와 소통, 업무분담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그러면서 내 농장의 성적을 정확히 파악하고 목표를 세울 것을 제안했습니다. 농장의 강점은 키우고 약점은 보완할 것도 당부했습니다. 긍정적인 마인드를 견지할 것도 주문했습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한국양돈연구회(회장 안근승)가 주최한 제24회 양돈기술세미나가 지난 19일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300여 한돈산업 관계자가 모인 가운데 성황리에 열렸습니다(관련 기사). 이날 세미나는 '선진 양돈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을 주제로 5명의 연자 발표로 채워졌습니다. 각각의 발표 내용은 세부적으로 달랐지만, 미래 경쟁력 확보라는 측면에서 궤를 같이 했습니다. 참석자들의 지식욕구와 동기부여를 자극하기에 충분했습니다. 첫 발표자로 나선 김문조 대표(더불어행복한농장, 경남 거창, 모돈 207두, 동물복지인증농장)는 동물복지에 대해 생산자 중심의 산업적 인식(관리 효율과 경제성 초점)만 고집하지 말고 소비자가 산업을 어떻게 생각하고 바라볼지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5년 앞으로 다가온 임신돈 군사사육 의무화의 경우 늦지않게 산업이 미리 대비하고 정부에 생산성 하락 대책, 정책 예산 지원 등을 요구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유한빛 대표(별빛축산, 충남 아산·천안, 모돈 350두, 3 사이트)는 2세 한돈인으로서 돈사를 신축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등의 자립하는 과정을 공유했습니다. 유 대표는 농장 경영이란 혼자만의 힘으로는 이룰 수 없는 긴 여정이며, 저마다의 경험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