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7년 이후 46년 만에 유엔은 올해 3월에 물 분야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6)를 달성하기 위해 물 공식 회의를 개최했다. 이 회의에서는 혁신적인 물 환경 관리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2030년에는 세계 인구의 40%가 물 부족 상황을 경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우리나라도 이 심각성을 인식하고 물의 중요성에 맞는 정책들을 만들고 수행하고 있지만, 2022년 환경보전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낙동강수계지역에는 1,579개의 퇴비 더미가 존재함을 확인했다. 또한, 낙동강수계지역의 2km 이내에는 1,211개의 축산농가가 위치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특히, 이 조사에서 603개(38.2%) 퇴비 더미가 하천 부지, 경사지 등에 부적절하게 보관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지역 내 축산농가의 수요와 퇴비 발생량을 고려할 때 적절한 퇴비 관리가 필수적임을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적절한 퇴비 관리는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농축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환경부는 6월 1일에 녹조로부터 안전한 물 환경 조성을 위해 강변과 하천변에 적치된 비료 등 '비점 오염원' 관리에 중점을 둔 녹조 종합 관리 대책을 발표했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안영희)은 낙동강을 대상으로 지난해 진행한 ‘담수생물 배양·보존 연구 및 분양시스템 구축’ 사업을 통해 항생제내성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신종 미생물 ‘파우시박터(Paucibacter) CR182균주’를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낙동강에서 채수한 시료에서 항생제내성균에 항균효능을 보유한 4종의 미생물을 분리했으며, 신종 확인 실험과 배양기술 연구를 통해, 메티실린에 내성을 갖고 있는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신규미생물 ‘파우시박터 속 CR182 균주’를 발견하고 관련 특허를 2016년 12월 출원했습니다. 나머지 3종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뿐만 아니라 대장균, 살모넬라 등 병원성 유해미생물의 생장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구균’은 메티실린에 대한 내성뿐만 아니라 아미노그리코시드계, β-락탐계, 매크롤라이드계 등의 항생물질에 내성을 가진 항생제내성균으로 창상감염, 폐렴,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입니다. 이번에 발견된 담수미생물 4종은 항균 물질 대량 생산 기술 개발을 통해 항생제 내성균의 생장을 막는 약학 조성물이나 건강식품, 사료첨가제 등으로 활용가치가 높을